대기업 43%·中企 59% “인내”…항의·신고 직장인 15.7%뿐
상사의 괴롭힘, 불합리한 업무 지시, 장시간 노동을 강요하는 분위기 등 회사 내 ‘갑질’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직장인은 10명 중 2명이 안 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노동건강연대, 비정규직없는세상만들기 등 노동시민단체가 구성한 ‘직장갑질 119’는 이런 내용을 포함해 직장 내 갑질 실태조사 결과를 1일 공개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임금·노동시간·언어폭력·성폭력·따돌림·해고 위협 등 각종 갑질에 동료들과 조직적으로 항의하거나 관련 기관에 신고하는 등 적극적인 대응을 하는 경우는 15.7%에 그쳤다. 응답자의 31.5%가 직장 내 갑질이 ‘심각한 수준’이라고 봤지만 참거나 모른 척하는 경우(41.3%)가 가장 많았다. 개인적으로 항의하거나(23.7%) 친구와 상의했다(22.0%)는 응답이 뒤를 이었다. 특히 중소기업 직장인은 응답자의 59.1%가, 대기업 직장인은 43.5%가 갑질에 소극적으로 대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직장 내 갑질에 대해 전문 여론조사기관에 의뢰해 실시된 조사는 이번이 처음이다. 조사는 지난달 13~20일 전국 만 15~45세 직장인 710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직장인이 경험한 갑질로는 ‘업무량보다 인원이 적다’(60.8%), ‘추가근무 수당이 없는 경우가 많다’(51.5%), ‘하는 일보다 임금을 적게 준다’(49.9%), ‘계약보다 더 많이 근무시킨다’(46.5%) 등 장시간 노동에 시달리며 제대로 된 보상을 받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을 차지했다. 아울러 폭언과 폭행, 해고 위협 등 비인간적인 조직문화도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사로부터 해고하겠다는 위협을 종종 받는다’고 응답한 경우가 12.1%, ‘반말, 욕설 등 인격 무시와 언어폭력을 받는다’는 경우가 21.7%에 달했다. ‘때리거나 물건을 던지는 등의 신체폭력을 받았다’(6.8%), ‘성희롱이나 성폭력이 있다’(9.4%)는 응답도 있었다.
홍인기 기자 ikik@seoul.co.kr
2017-11-02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