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지역 고교 두발·교복 규제 논란
인천 지역 고등학교의 두발과 복장 규제가 ‘뜨거운 감자’로 떠올랐다. 구시대적 발상으로 학생들의 인권과 자율권을 침해한다는 지적이 나오지만, 정제된 학교 공동체를 유지하려면 일정부분 규제가 필요하다는 견해도 있다.13일 전교조 인천지부에 따르면 인천지역 일반고 39곳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32곳(82%)이 아침마다 교문에서 학생들 두발과 복장을 지도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 중 25곳(78%)은 벌점 등의 제재로 학생들에게 교복과 두발 규정을 강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14개(43%) 학교는 요즘처럼 갑작스레 추워진 날씨에도 코트나 점퍼를 입지 못하게 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여학교 중에는 블라우스 안에는 흰옷만을 입도록 규정하는 학교도 있다.
전교조 관계자는 “두발과 복장 단속은 매우 전근대적이며, 비민주적이고, 반인권적인 행태”라며 “교문 지도는 공부에 찌든 학생들에게 스트레스를 주고 여유로운 분위기를 해치고 있다”며 두발·교복 규제를 전면 폐기할 것으로 요구했다. 인천 지역 고교 교사 현모(25)씨는 “학생들이 방학 때나 졸업을 앞두고 지나치게 튀는 색으로 염색하는 것은 평소 학교로부터 받은 두발 규정에 의한 압박감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막상 완전한 두발 자유화를 하면 과한 염색을 하는 학생들이 줄어들 것”이라고 밝혔다.
서울시교육청은 앞서 지난 9월 중·고교생 두발 규제를 폐지하는 ‘두발 자유화’를 추진하겠다고 선언하고 내년에 학칙을 개정한다는 방침을 밝힌 바 있다. 서울시교육청 관계자는 “학교 구성원 합의를 전제로 학생의 두발 길이·파마·염색을 간섭하지 않는 방향으로 교칙을 개정하라는 내용의 공문을 서울지역 중·고교에 전달했다”고 밝혔다.
학부모 이모(47)씨도 “요즘도 학생들 머리 길이가 너무 길어서 보기 좋지 않다. 학생은 성인이 되기 전 학문적, 사회적으로 배우는 기간이기 때문에 몸가짐을 단정히 할 필요가 있다”면서 “두발 자유화를 한다면 학생들이 지나치게 외모 가꾸는 데 시간을 소비할 것이 뻔하다”고 말했다.
각 학교의 판단에 맡겨야 한다는 중립적 견해도 있다. 교사 이모(28)씨는 “외모로 학생의 품성을 재단하는 건 편견이자 ‘학생’이라는 옛 틀에 가두는 것이기 때문에 개선할 필요는 있다. 그러나 학교에서 변화가 이뤄지려면 각 구성원의 공감대가 있어야 하기 때문에 전적으로 학생, 학부모, 학교 차원의 공론화위원회에 판단을 맡겨야 한다”고 밝혔다.
김학준 기자 kimhj@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