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층에서 본 중정 |
|
최세일 한건축 대표 |
건축주의 세부 요구 사항은 이랬다. 중정을 두고 라이프사이클을 고려해 나중에 사무실로 쓸 수 있으니 외관이 너무 주택 같지 않게 디자인할 것, 두 형제가 어머니를 모시는 3세대 주거 형태이며 외부 공간이 풍부했으면 좋겠고, 거실은 두 개 층 높이로 디자인할 것, 두 가족이 어느 정도 독립적인 공간 분리가 됐으면 좋겠고 가족 구성원 외에 방이 하나 정도 여유가 있으면 좋겠다, 어머니를 위해 엘리베이터를 설치할 수 있도록 승강기 박스를 미리 만들어 두고 싶다, 옥상 정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싶다, 어머니가 제일 많이 쓸 옥상까지 엘리베이터가 올라갔으면 좋겠다 등이었다.
정방형 평면 가운데 위치한 중정이 다양한 역할을 한다. 작은 정원과 빛 우물, 증정을 둘러싼 복도에 나서 소통의 공간까지. 1층에는 방 2칸에 가족실 겸 미니 주방이 하나 있다. 메인 주방과 거실은 2층에 있지만, 어느 정도 독립성을 확보했다. 출입 역시 2층으로 진입하는 메인 현관과 별개로 만들었으며 내부 계단으로 2층과 연결된다. 처음부터 두 형제의 독립과 다른 용도의 사용을 고려한 사무공간을 염두에 두었다. 지금은 건축주의 서재 겸 작업실 공간, 응접실의 기능으로도 훌륭하다. 이른바 사랑채 역할을 할 수 있는 공간이기도 하다.
2층은 거실, 주방, 식당과 어머니 방, 여분의 방이 하나 있다. 어머니 방과 거실 사이에는 작은 외부 공간이 하나 있어 ‘ㅁ’ 자로 막힌 공간에 숨통을 텄다. 거실은 3층까지 트여서 3층 복도에서 2층의 거실까지 대화가 가능하다. 면적이 넓은 거실은 아니지만 높은 층고에서 느끼는 공간감은 이곳이 이 집의 중심임을 쉽게 알 수 있게 해 준다.
유리면이 많아 열효율이 높은 자재로 열 교환 장치와 기계 환기로 빠져나가는 에너지를 최대한 잡았으나 한여름에 햇볕이 잘 드는 부분은 보완이 더 필요할 듯하다. 볼수록 더 애정이 가는 집이다.
2018-12-04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