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년간 발생한 산불 분석
산불감시원 배치 선정과 산불취약지역 지정 등에 활용할 수 있는 과학적인 기반이 마련됐다.
|
강원 강릉 산불취약지도. 국립산림과학원 제공 |
산불 취약위험지수는 산불 발생밀도, 침엽수림과 거리, 인구밀도, 건물밀도, 재해 약자시설 분포, 국가보호시설 분포 등을 활용해 A~D의 4단계로 산출했다. A등급(상위 0∼10%)에 가까울수록 위험도가 높다.
산불취약지도를 활용해 산불감시원을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고, 산불조심기간 입산통제구역과 등산로 폐쇄구역을 선정하는 데 효과적이다. 특히 진화 차량이나 헬기를 산불취약지역에 전진 배치해 조기 진화 및 산불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데다 산불관리통합규정에서 명시한 산불취약지역 구분에도 활용 가능하다.
산불취약지도는 국립산림과학원 홈페이지(www.nifos.go.kr)에서 이용할 수 있다.
산림과학원 산불예측·분석센터는 “내가 살고 있는 지역의 산불 취약도를 확인해 적극적이고 실효성있는 예방 활동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