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통신사별로 100만 회선을 수용할 수 있는 ‘통신 재난 로밍 전용 LTE 인프라’를 구축한 뒤 올해 말까지 상용망에 적용한다고 10일 밝혔다. LTE 재난 로밍이 시행되면 특정 통신사업자에게 광역시 규모의 통신재난(200만명 규모)이 발생하더라도 가입자는 다른 사업자의 망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KT 아현지사 화재 당시 66만명 정도가 피해를 본 점을 감안하면 이보다 3배 이상의 재난이 발생해도 대응이 가능한 셈이다.
신대식 과기부 통신안전대응팀장은 “로밍은 무료로 진행되기 때문에 소비자 부담은 없다”라고 말했다.
다만 3G의 경우 별도의 로밍 시스템을 구축하기 어려워 재난이 발생하면 해당 통신사 이용자가 다른 통신사 대리점에서 재난 기간에 쓸 수 있는 유심을 발급해주는 방향으로 가닥이 잡혔다.
조용철 기자 cyc0305@seoul.co.kr
2019-04-11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