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반기 반입 건수 전년보다 42% 늘어
美 점유율 46%로 줄고 中 빠른 상승세전자제품 78% 는 300만건… 中이 72%
|
관세청이 17일 발표한 ‘해외 직구 수입 동향’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직구 규모는 2123만건, 15억 8000만 달러로 전년 동기(1494만건·13억 2000만 달러) 대비 건수는 42%, 금액은 20% 증가했다. 같은 기간 우리나라 전체 수입액(2523억 달러)이 지난해 같은 기간(2650억 달러)보다 4% 감소한 것을 감안하면 성장세가 뚜렷하다.
더욱이 중국 광군제와 미국의 블랙프라이데이 등 연말에 해외 할인 행사가 집중돼 상대적으로 하반기 수요가 증가하는 것을 고려할 때 직구 규모가 사상 처음 30억 달러를 돌파할 것으로 추산됐다. 2017년 20억 달러를 돌파한 지 2년 만이다.
국가별로는 미국이 전체 수입(건수)의 46%로 가장 높았지만 점유율은 2016년(65%) 대비 20% 포인트 하락했다. 해외 직구에서도 중국의 상승세가 가파르다. 2017년 유럽을 제치고 2위에 오른 이후 올해 상반기 33%까지 상승했다. 일본은 4위를 유지했지만 비중은 7%로 전년 동기(8%)보다 낮아졌다. 미국과 중국은 각각 건강기능식품, 전자제품 직구가 집중됐다.
전통적인 해외 직구 인기 품목인 건강기능식품은 456만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8% 증가하며 반입량 1위를 유지했다. 이 중 미국이 82%(373만건)를 차지하고 있다. 단일 국가·단일 품목군에서 직구족이 가장 많이 구입하는 품목이다.
직구 연령대는 30대·20대·40대 순이다. 특히 30대와 20대가 전체의 69%를 차지했다. 성별로는 여성이 64%로 남성(36%)보다 높았지만 지난해(여성 70%·남성 30%)와 비교하면 남성의 직구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전 박승기 기자 skpark@seoul.co.kr
2019-09-18 1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