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 중기부 관계자들과 전화통화를 했습니다. 상당수는 최근 대전시에서 중기부가 세종시로 이전하는 것을 강력히 반대하면서 논란이 계속되는 것을 부담스러워 했습니다. 의견을 밝히길 꺼리던 한 중기부 관계자는 “세종시로 이전하면 어떤 장점이 있다고 보느냐”는 질문에 “세종시에서 다른 정부부처와 함께 모여서 정책을 논의하고 숙성시키는 데 좋다고 본다”고 조심스럽게 답했습니다.
중기부의 세종시 이전 문제가 공론화된 건 지난달 26일부터입니다. 중기부는 당시 보도자료를 내고 “본부 조직의 세종시 이전을 위한 ’세종 이전 의향서‘를 지난 16일 행정안전부에 제출했다”고 밝혔습니다. 중기부가 현재 자리잡고 있는 정부대전청사는 사실 정부세종청사와 자동차로 30분 거리밖에 안 됩니다. 그리 멀지도 않은데 대전시와 갈등을 겪으면서까지 옮겨야 하는 이유는 뭘까요.
중기부 상황을 잘 아는 한 정부 관계자는 “중기부가 공직사회를 향해 ‘우리도 이제는 장관급 부처’라고 외치는 일종의 인정투쟁”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는 “기획재정부나 산업통상자원부 등은 여전히 중기부를 차관급 중소기업청 시절과 다름 없이 대하는 분위기가 있다”면서 “중기부로서는 정부세종청사로 들어가 다른 장관급 부처와 ‘같은 물에서 놀고 싶다’는 분위기가 강하다”고 귀띔했습니다.
그런 분위기를 반영하듯 중기부의 지난달 26일 보도자료는 부처 간 협의를 유달리 강조한 것이 눈에 띕니다. “관계부처와의 소통과 협업을 강화”한다거나 “다른 경제부처와의 효율적 정책 연대 및 긴밀한 협업이 필수”이고 “전 부처에 걸쳐 협업과 지원이 필요”하다며 “세종시 이전이 정부부처 간 정책 시너지 효과를 창출할 것”이라는 것입니다. 행정안전부 고위관계자는 “박영선 중기부 장관을 비롯해 중기부에서 예전부터 세종 이전에 대한 의지가 강했다”며 중기부의 선택에 따라 논의가 흘러가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또다른 여가부 관계자도 “다른 부처들이 옮길 때 함께 내려갔다면 집이라도 쉽게 구할 수 있었겠지만 이제 와서 내려간다면 당장 거주할 집도 문제”라며 “홀로 방을 구해 살거나 출퇴근을 해야 할텐데 여성 직원이 압도적으로 많고 맞벌이가 대다수이니 걱정이 될 수 밖에 없다”고 말했습니다. 하지만 다른 정부부처 관계자는 “애초 여가부가 세종 이전 대상에서 제외된 것부터가 말이 안 된다”면서 “세종 이전 당시 다른 부처 공무원들도 겪은 일인데 여가부만 특별대접을 받아야 하는 이유가 뭔지 모르겠다”고 꼬집었습니다.
강국진 기자 betulo@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