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관 최고 책임자 노조 상대 ‘이례적’
고객센터 노조는 직접고용 요구 파업
공단 노조는 “공정성 어긋난다” 반발
“대화 새판 짜는 데 두 노조 동참” 호소
김용익 이사장 “대화로 해결합시다” 국민건강보험공단 고객센터 직원들의 직접고용 문제를 놓고 공단 노조와 고객센터 노조가 갈등을 빚고 있는 가운데 김용익 공단 이사장이 14일 강원도 원주 본사 1층 로비에서 문제를 대화로 해결하자며 단식 농성을 하고 있다. 국민건강보험공단 제공 |
국민건강보험공단(건보공단) 산하 고객센터(콜센터) 직원들의 직접고용 문제를 놓고 공단 노동조합과 고객센터 노조 간 ‘노노 갈등’이 거세지자 김용익 공단 이사장이 단식에 나섰다. 노노 갈등을 진화하려고 기관 최고 책임자가 노조를 상대로 단식 농성에 나선 이례적인 상황이다.
건보공단에 따르면 김 이사장은 14일 강원도 원주 본사 1층 로비에서 무기한 단식을 시작했다.
김 이사장은 입장문에서 “고객센터 노조는 직영화를 요구하며 무기한 파업과 함께 공단 본부 로비에서 농성 중이고, 이에 공단 직원들이 매우 격앙돼 있다”며 “두 노조가 대화로 합리적인 방안을 찾을 수 있도록 다양한 노력을 했으나 대립만 깊어지고 있다. 대화의 새로운 판을 짜자는 저의 제안에 두 노조가 곧바로 호응해 달라”고 촉구했다.
앞서 지난 10일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국민건강보험고객센터지부 소속 조합원 970여명은 직접고용을 요구하며 무기한 파업을 시작했다. 현재 건보공단은 고객센터 업무를 민간기업에 위탁하고 있다.
고객센터 노조 요구를 논의하려면 ‘민간위탁사무 논의 협의회’를 열어야 한다. 하지만 고객센터 노조는 파업을 풀지 않고 있고, 건보공단 노조는 협의회 참여를 거부하는 상황이다. 이번 사태가 ‘제2의 인천국제공항공사(인국공)’ 사태로 번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김 이사장은 “공단 최고책임자가 노조를 상대로 단식을 한다는 파격에 대해 비난이 있을 것을 잘 알고 있다”면서도 “다른 방법을 찾을 수가 없었다”고 호소했다.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