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종우 경희대 교수 연구팀 조사
|
중증 이상 우울 위험군 3년 새 7.4배로
20대와 여성, 저소득층이 코로나19로 인한 심각한 우울과 불안을 호소하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백종우 경희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팀은 이런 내용이 담긴 ‘코로나19 공중보건 위기에 따른 정신건강 및 사회심리 영향평가’ 1차 연구 결과를 19일 공개했다. 올해 3월부터 6월까지 전국의 성인과 14세 이상 청소년 등 1150명을 조사한 결과다.
우울 및 불안 등 정신건강 지표는 코로나19 유행 전보다 크게 악화했다. 우울 평균 점수는 6.6점으로, 2018년 지역사회 건강조사 결과(2.3점)의 2.9배로 증가했다. 우울 점수가 10점 이상인 중증 이상 우울 위험군 비율은 28.0%로 3년 전(3.8%)보다 7.4배 늘었다. 연령대별로는 20대의 중증 이상 우울 위험군 비율이 40.2%로 가장 높았다.
성별로는 여성이 남성보다 ‘코로나블루’에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유행 전에는 남성과 여성의 우울 위험군 비율이 각각 10.1%와 10.4%로 별 차이가 없었지만 코로나19 이후 24.4%와 31.5%로 벌어졌다.
저소득층의 정신건강도 위험 수준으로 확인됐다. 코로나19 유행 이후 월수입 150만원 미만인 집단과 300만원 미만인 집단의 중증 이상 우울 위험군 비율이 각각 40.7%와 36.5%로 전체의 77.2%에 달했다. 반면 월수입 500만원 이상∼800만원 미만, 800만원 이상의 집단에서는 중증 이상 우울 정도가 각각 21.4%, 16.5%로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저소득층은 고소득층에 비해 코로나19에 걸릴 우려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연구진은 사회심리학적 지원이 이뤄져야 한다고 제언했다.
오세진 기자 5sjin@seoul.co.kr
2021-08-20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