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행정안전통계연보’ 발간
작년 주민등록인구 5182만 9023명외국인 221만명… 10년 새 2배 증가 지난해 주민등록인구는 2만명이 줄어든 5182만명이었고 평균연령은 43.2세로 전년보다 0.6세 높아졌다. 지방세 세입은 집값 상승의 영향으로 처음으로 100조원을 넘어섰다.
●연령별 인구는 49세가 93만 9344명 최다
행정안전부는 지방행정, 지방재정, 주민등록인구, 재난관리 등 행정안전과 관련한 8개 분야 321개 통계를 정리한 ‘2021 행정안전통계연보’를 25일 발간했다. 통계연보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주민등록인구는 5182만 9023명이었다. 1년 전과 비교해 2만 838명(0.04%) 줄었다. 주민등록인구가 감소한 것은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래 처음이다. 외국인 인구는 221만 6612명으로 4.3%를 차지했다. 이는 2010년(113만 9283명)과 비교하면 10년 만에 두 배가량 늘어난 것이다.
연령별로 보면 49세(1971년생, 93만 9344명), 52세(1968년생, 92만 605명), 51세(1969년생, 91만 9030명)가 가장 많았다. 시도별 평균연령은 전남(46.8세)과 경북(46.3세)이 가장 높았다. 가장 젊은 광역자치단체는 세종시(37.3세)였고 광주와 경기(41.4세)가 뒤를 이었다.
●집값 올라 지방세 징수 11조 늘어 102조
전체 공무원 정원은 113만 1796명으로 전년보다 2만 7288명(2.5%) 증가했다. 공무원 정원은 2014년 102만 9471명으로 처음 100만명을 넘어섰고 2018년 107만 4842명, 2019년 110만 4508명으로 늘었다. 여성 공무원 비율은 47.9%로 전년 대비 0.6% 포인트 상승했다.
강국진 기자 betulo@seoul.co.kr
2021-08-26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