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달 1~2일 英 ‘글로벌 서약’ 가입하기로
온난화의 30%·기온 0.5도 상승 원인물질
포집 확대·화석연료 축소 등 830만t 감축
25일 환경부에 따르면 메탄(CH4)은 교토의정서가 정의한 6대 온실가스 중 하나로, 이산화탄소(CO2)가 지구온난화에 미치는 영향을 기준으로 한 지구온난화지수(GWP)가 21에 달한다. 메탄은 천연가스 채굴과 농업 등 인간의 활동으로 발생하는데 대기 중 메탄 농도는 이산화탄소보다 낮지만 지난 8월 승인된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 제6차 평가보고서는 지구온난화의 약 30%, 기온을 0.5도 올리는 원인 물질로 평가했다.
다만 대기 중 체류 기간이 약 10년으로 이산화탄소(최대 200년)와 대비하면 짧아 의욕적으로 감축 시 지구 평균온도 상승을 1.5도 이내로 낮추자는 파리협정의 목표 달성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분석했다. 이에 따라 국제사회는 2030년까지 전 세계에서 배출되는 메탄 배출량을 2020년 대비 최소 30% 감축한다는 국제연대로서 글로벌 메탄 서약을 추진 중이다. 다음달 1~2일 영국 글래스고에서 열리는 제26차 기후변화당사국총회(COP26) 정상회의 기간에 서약 출범식이 개최된다.
정부는 서약 가입을 통해 국제사회의 메탄 감축 노력에 적극적으로 동참할 계획이다. 우리나라 메탄 배출량은 2018년 기준 2800만t으로 온실가스 배출량의 3.8%를 차지한다. 농축수산이 43.6%(1220만t)로 가장 많고 폐기물(860만t), 에너지(630만t) 등의 순이다. 소의 방귀와 트림이 메탄을 배출한다는 것처럼 가축의 소화기관 내 발효와 벼(쌀) 재배, 폐기물 매립 등이 주원인이다.
2030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상향안에는 2030년 배출량(1970만t)을 2018년 대비 30% 감축하는 내용이 담겼다. 저메탄 사료 보급과 논의 물관리 등을 통해 250만t, 음식물 등 유기성 폐기물 및 메탄 포집설비 확대 등을 통해 400만t을 줄일 계획이다. 에너지 부문에서는 화석 연·원료 사용 축소 등을 활용해 180만t을 감축한다.
세종 박승기 기자 skpark@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