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년 전에 “천막보다 안전해 제작”
환기 등 불편해 결국 사용 안 해
10개 중 7개 먼지만… 예산 낭비
서울신문이 14일 취재한 결과 이 선별진료소는 차량에 탄 채 코로나19 감염 여부를 검사받는 드라이브 스루 방식의 ‘천막형 선별진료소’가 2020년 2월 전국에서 인기를 끌자, 같은 해 3월 도가 대당 8790만원씩 총 8억 7900만원을 주고 만들었다.
당시 도는 “컨테이너형이 천막형보다 안전하고 더 발전한 선별진료소”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경기지역 공공의료기관 책임자를 비롯한 방역 전문가들은 “컨테이너형보다 통풍이 잘 되는 천막형이 낫다”며 ‘보여주기식 쇼’라고 지적했다. 드라이브 스루 선별진료소를 처음 제안한 김진용 인천의료원 감염내과 교수는 “컨테이너형은 환기 때문에 최소 30분 간격으로 운영해야 하기 때문에 신속하게 많은 의심환자를 상대하는데 불리하다”고 말했다.<서울신문 2020년 3월 12일자 11면>
도는 2020년 3월 23일 인천공항 검역소에 3대를 빌려주고, 3대는 경기도북부청사에 4대는 경기도립의료원에 배치했다. 2년이 지난 현재 우려가 현실이 됐다. 3대만 인천공항 검역소에서 사용하고 있었다. 경기도북부청사에 있는 3대는 2020년 3월 말 코로나19 확산이 잠시 소강상태에 접어들자, 주차장 구석으로 옮겨진 뒤 먼지만 싸여가고 있다. 내부에 있는 장비는 비닐 포장재조차 뜯지 않은 상태다. 경기도립 파주의료원에 있는 것도 사용을 중단한 지 오래됐다. 나머지 3대는 도가 어디 있는지 확인을 못 하고 있다.
컨테이너형은 천막형과 달리 차에서 내려 검사를 받아야 해 불편하고, 폐쇄된 공간이라 음압장비를 갖춰야 해 제작비용도 많이 들어간다. 음압장비는 실내 기압을 낮춰 바이러스가 섞인 공기가 외부로 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작비도 시중가격보다 높게 지불한 것으로 추정된다. 업계에서는 “음압기가 대당 600만원가량이고, 9m짜리 컨테이너 가격과 칸막이 공사비, 냉난방 설치비 등을 감안해도 대당 8790만원은 ‘비상사태’라 바가지 쓴 것 같다“고 했다.
글·사진 한상봉 기자
2022-02-15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