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적률은 300% 이하 선호
지역별로 선호하는 사업방식 달라
재건축때 용적률은 300% 이하, 층수는 21~30층을 선호했다.
경기연구원은 지난 3~4월 도내 1기 신도시인 분당, 평촌, 산본, 일산, 중동 주민 500세대 대상 설문조사 결과를 담은 ‘경기도민은 새로운 1기 신도시를 기대한다’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9일 밝혔다.
이번 조사에서 응답자의 83.8%가 ‘거주 아파트의 재정비가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신도시별로는 중동 88.6%, 산본 86.7%, 일산 84.1%, 평촌 83.8%, 분당 80.4% 등의 순이었다.
선호하는 재정비 사업 방식은 재건축(48.4%)이 리모델링(35.1%)과 유지보수·관리(16.5%)보다 높게 나왔다.
선호 이유로 재건축은 자유로운 평면·단지설계(61.6%)와 구조적 안정성 확보(51.7%)를, 리모델링은 사업 기간 단축(72.1%)과 비용 절감·친환경적(71.4%)을 주로 꼽았다.
적절한 시행 시기로는 5년 이내가 62.8%로 가장 많았다. 5~10년 이내는 26.4%, 10년 초과는 10.8%였다
사업비 부담 의향에는 72.8%가 동의했으며, 적절하다고 생각하는 추가 부담금은 평균 1억2800만원 이었다.
재건축 시 용적률로는 300% 이하가 47.8%, 층수는 21~30층이 56.2%로 가장 많이 나왔다.
단지 간 통합 정비(80.3%), 정부의 지원(86.7%),순환형 개발과 재건축 시기 조정 등 주거 안정 대책(80.8%)에도 상당수 동의했다.
현 거주 상태와 관련, 19.4%만이 세대 내 환경에 만족했다. 가장 큰 불만족 요소는 주차장(64.2%)과 상하수도 부식(55.0%)을 꼽았다.
거주 단지의 만족도는 26.0%에 머물렀는데, 소음·진동(64.8%),단열·방풍(48.6%),누수·곰팡이(45.0%)를 들었다.
신동원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