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폐기물 반입 제한한 덕분
경기·인천 당선인, 매립지 논의
인천 서구 검단·검암동과 경기 김포시 양촌읍 일대에 있는 수도권매립지 내 서울시 폐기물 매립량은 지난 1~4월 13만 5824t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25만 5780t)보다 47% 감소했다.
특히 건설폐기물 매립량이 13만 3768t에서 2만 4064t으로 82% 줄었다. 건설폐기물은 수도권매립지로 가는 서울시 폐기물의 약 50%를 차지한다. 건설폐기물 매립량이 급감한 건 지난 1월부터 5t 이상 대형건설폐기물의 수도권매립지 반입이 금지된 데 따른 것이라고 시는 설명했다.
종량제 봉투에 담아 버리는 생활폐기물 매립량도 지난 1~4월 9만 5934t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10만 4935t)보다 8.6% 감소했다. 같은 기간 생활폐기물 소각량(23만 9112t)도 전년 같은 기간(24만 7625t) 대비 3.4% 줄었다.
생활폐기물은 크게 재활용, 소각, 매립 등 세 가지 방식으로 처리된다. 재활용을 우선으로 하고, 재활용이 어려우면 자원회수시설에서 소각한 뒤 소각재를 매립하거나 직매립하는 식이다. 올해 생활폐기물 매립량과 소각량이 모두 감소한 것은 쓰레기 발생을 근본적으로 줄이려는 다양한 정책이 효과를 내고, 재활용 정책에 대한 시민 참여가 활발해진 데 따른 것이라고 시는 분석했다.
조희선 기자
한상봉 기자
2022-06-13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