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고2 대상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서 서버 먹통
13일부터 전국 학생 대상 ‘맞춤형 학업성취도 자율평가’ 차질 우려
7일 서울신문 취재를 종합하면 교육부는 이날 전국 고등학교 2학년 학생 중 3%를 표집해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를 실시할 계획이었다. 올해 평가는 처음으로 전면 온라인 방식으로 진행했다. 학생들이 개별 학교에 마련된 컴퓨터에서 서버에 접속해 시험을 푸는 형태다.
그러나 오전 9시 시험을 시작한지 얼마 지나지 않아 서버 접속이 먹통이 되며 고2 시험이 전면 중단된 것으로 확인됐다. A고등학교 교사는 “올해는 시험을 온라인으로 치르라고 해 사설 노트북 업체가 와 노트북을 설치하는 등 부산을 떨었는데 정작 서버에 접속되지 않았다”며 “대체 어떻게 시험을 치러야 할지 문의해도 확인할 수 없었다”고 전했다.
시험을 주관한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서버 먹통 사실을 인지하고 학교에 “오프라인으로 평가를 진행하라”는 안내문자를 보냈으나, 대다수 학교는 이미 시험을 중단한 상황으로 전해졌다. B고교 교사는 “학생들에게도 생소한 방식으로 시험을 치르는데 뒤늦게 오프라인으로 진행하라면 그게 되겠느냐”라며 “컴퓨터로 보는 시험의 시험지를 미리 프린트라도 해두란 뜻이었는지 당황스럽다”고 말했다.
교육부 관계자는 “서버에 문제가 발생해 학업성취도 평가를 중단하게 됐다. 정확한 원인은 파악 중이다”고 답했다.
김중래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