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악산 빗장 풀리자 너도나도 케이블카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정부 “태양광 전력생산 줄여라”… 호남·경남 직격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갑작스런 야근도 걱정 뚝… 서울시가 우리 아이 돌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주사위는 던져졌다… ‘한국 갯벌 컨트롤타워’ 누가 품을까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세계유산보전본부’ 이달 선정
충남 서천 “철새 주요 기착지”
전북 고창 “만 형태 보유 강점”
전남 신안 “1100.86㎢ 가장 넓어”

한국의 갯벌을 통합 관리할 ‘갯벌 컨트롤타워’ 선정 지역에 관심이 쏠린다. 갯벌세계자연유산보전본부 후보지가 충남과 전북, 전남 등 3파전으로 압축된 가운데 조만간 현지 실사를 거쳐 최종 지역이 결정될 전망이다.

4일 해양수산부 등에 따르면 갯벌세계자연유산보전본부 설립 공모를 지난달 마감한 결과 충남 서천과 전북 고창, 전남 신안 등 3곳이 신청서를 제출한 것으로 파악된다. 해수부는 320억원을 들여 갯벌의 체계적·통합적 보전·관리와 지역 방문자센터 등을 총괄하는 ‘갯벌 보전본부’ 건립을 추진 중이다. 본부 유치를 놓고 지자체는 물론 지역 정치권까지 경쟁에 합류하면서 당초 지난 7월에 예정됐던 선정 절차가 늦춰졌다. 일정이 미뤄지는 동안 항목과 배점 등 공모 평가표가 수정되면서 논란이 벌어지기도 했다. 전북도의회는 지난달 논평을 내고 “이번 해수부의 결정이 공모의 공정성과 투명성을 해쳤다”며 “특정 지역을 위한 꼼수 변경”이라고 강하게 반발했다.

현재 서천과 고창은 지리적 강점을 부각시키고 있다.

서천은 서해안 갯벌의 중간 지점이고, 전 세계 9대 철새 이동경로 및 핵심 3대 경로 중 하나인 동아시아·대양주 철새 이동 경로상의 주요 중간 기착지라고 강조하고 있다.

고창은 2025년 인천 강화와 영종도 등의 갯벌이 세계자연유산에 추가 등재되면 국내 갯벌 한가운데 있게 되고 만 형태를 가진 유일한 갯벌을 보유한 데다 생태 관련 국립시설이 없는 전북에 대한 국토균형발전 차원의 배려가 필요하다는 점을 부각시키고 있다.

반면 전남은 한국의 갯벌 가운데 많은 부분을 차지한 신안에 본부를 건립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실제 세계자연유산에 등재된 갯벌 중 신안 갯벌이 1100.86㎢로 가장 넓다. 광역지자체별로 한 곳만 신청이 가능해 신안만 신청서를 제출했지만 보성과 순천 갯벌(59.85㎢)을 포함하면 1160.71㎢까지 넓어진다.

해수부는 조만간 현장 실사를 해 이달 중 최종 선정할 예정이다. 해수부 관계자는 “갯벌 보전본부 1곳을 선정하고 나머지 지역에는 방문자센터 등 지역 거점을 구축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전주 설정욱 기자
2022-10-05 10면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밴드 블로그

Leaders Today

“엄마들 걱정 싸악~” 학교 앞 소통 나선 광진[현

광진초 앞에 뜬 김경호 구청장 학부모들과 교문 앞 즉석 간담회 교육현장 목소리·주민 의견 청취 명함 건네며 “성심성의껏 해결” 접수 의견 피드백… 개선안 ‘착착’

발로 뛰는 강서… 오늘 공공주택 정책설명회

김태우 구청장 직접 발표 나서 후보지 토지 소유자 600명 참석

동대문, 주민참여순찰 야간으로 확대

3년 만에 재개… 10월까지 실시

도봉, 올해 지역 맞춤형 일자리 1만 3000개 만

고용률 35% 목표 4대 전략 수립 소상공인 매니저 사업 처음 도입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