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금·매리 취수장 녹조 ‘경계’ 발령
6~8월 4~6등급 물 정수해 공급
“시설 보강·취수원 다변화해야”
4일 더불어민주당 박재호 의원이 부산시로부터 제출받아 공개한 ‘물금·매리 취수장 주변 수질 등급’에 따르면 지난 6~8월 물금 취수장에 총 54일, 매리 취수장에 49일 동안 총유기탄소량(TOC) 기준 4등급 이하의 물이 공급됐다. 두 취수장 중 한 곳이라도 4등급 이하의 물이 공급된 날은 모두 58일이었다. 세부적으로 보면 물금 취수장은 4등급 24일, 5등급 22일, 6등급 8일이었다. 매리 취수장은 4등급 23일, 5등급 22일, 6등급 4일이었다.
낙동강 녹조 발생으로 물금·매리 지점에 조류 경보 ‘경계’ 단계가 발령된 지난 6월 23일부터 8월 24일까지 62일 중 두 취수장 모두에 3등급 이상의 물이 공급된 날은 9일에 불과했다. 환경정책기본법 시행령을 보면 4등급은 농업용수로 쓰거나 고도정수 처리 후 농업용수로, 5등급은 특수 정수 처리 후 공업용수로 쓸 수 있다고 한다. 6등급은 물고기가 살기 어려운 오염된 물로 설명한다.
올여름 폭염과 부족한 강수량 영향으로 부영양화가 심각해지면서 물금·매리 취수장 주변 수질이 더욱 나빠진 것으로 분석된다. 하지만 대구의 매곡·문산 취수장에 공급되는 원수는 올여름 5등급 이하로 떨어진 적이 없어 낙동강 수질 악화 피해가 하류에 집중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부산시는 고도정수처리해 식수 허용기준을 충족하는 수돗물을 생산했지만 한계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실제 부산시상수도사업본부 수돗물평가위원회 수질검사 결과를 보면 정수장 수돗물에서 검출된 총트리할로메탄이 지난 6월에는 ℓ당 최대 0.02㎎이었지만, 7월에는 0.05㎎까지 치솟았다. 트리할로메탄은 물에 있는 유기물질이 정수 과정에서 살균제로 사용되는 염소와 반응해 생성되는 발암성 물질이다. 허용 기준치는 ℓ당 0.1㎎ 이하다.
부산 정철욱 기자
2022-10-05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