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말 폐광 앞둔 ‘화순광업소’
무연탄 연 70만톤… 1980년대 호황
난방 LNG로 바뀌고 규제 ‘사양길’
郡 “노동자 위로금·고용 승계 시급
대체 산업 모색… 정부 지원 절실”
4일 대한석탄공사에 따르면 2023년 말 화순광업소, 2024년 말 강원 태백 장성광업소, 2025년 말 삼척 도계광업소가 잇따라 폐광할 예정이다.
정부가 지난해 말 공고한 제6차 석탄산업 장기계획에 따라 올해부터 석탄공사의 석탄 생산량 한도를 107만t으로 설정한 데 따른 것이다.
1905년 탄전이 발견돼 광업권을 등록한 화순광업소는 우리나라 1호 탄광으로 서민의 애환이 서린 곳이다. 화순군 동복면·동면·한천면·이양면·청풍면 일대 200㎢에 걸쳐 20여개의 광산이 분포됐다. 면적만 해도 30.7㎢, 갱도 길이는 80㎞에 이른다.
동면 오동리 최병철 이장은 “그 당시 마을의 모든 가게들을 광업소 직원들이 먹여 살렸다”며 “모든 음식점, 술집에서 광업소 다닌다고 하면 외상이 가능할 정도로 위세를 떨쳤다. 오죽하면 교사, 경찰 등이 공무원을 그만두고 광업소로 이직했겠느냐”고 당시를 돌이켰다.
호황을 누리던 화순광업소는 88 서울올림픽을 맞아 정부가 석탄 사용을 규제하고 에너지원 구조를 바꾸면서 쇠락의 길로 접어들었다. 이어 1989년 액화천연가스(LNG)로 난방이 바뀌고 1990년대 들어 정부의 석탄 감산 정책에 따라 생산량이 크게 줄었다. 지난해 생산량은 6만 3000t에 그쳤다. 잘나가던 80년대에 견줘 10분의1도 되지 않는다.
현재 화순광업소 근무 인력은 270여명으로 일일 2교대로 채탄 작업을 하고 있다. 생산된 무연탄은 모두 국내 연탄 제조업체에 공급되고 있다. 70~80년대에는 최대 근무 인원이 1500명 정도였다.
화순을 지역구로 둔 신정훈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우리나라 에너지 안보와 산업 발전의 밑거름이 됐던 광부들의 땀과 희생이 정당한 보상을 받아야 된다”면서 “폐광 잔여 부지를 화순군이 조속히 인수해 대체 산업을 펼쳐 나갈 수 있도록 정부에 적극적으로 예산 지원을 요구하겠다”고 밝혔다.
화순군은 광업소가 문을 닫으면 탄광 부지 개발에 나서게 된다. 화순군은 광업소 부지 매입비 325억원을 정부가 전액 지원해 줄 것을 요구했지만 아직 반영되지 않고 있다.
구복규 화순군수는 “광업 노동자들에게는 특별위로금과 고용 승계 문제가 가장 시급한 과제”라며 “부지 매입비 지원과 순직한 석탄 산업 종사자 추모공원 등 폐광 복구 계획을 실행하는 데 정부의 관심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화순 서미애 기자
2022-10-05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