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는 27일 화성행궁 우화관 건물 최상부인 마룻대에 상량문을 봉안하는 ‘중건(重建) 상량식’을 열었다. 상량식은 목조건물 골격이 거의 완성된 상태에서 이를 알리고 공사에 참여한 사람들의 노고를 위로하기 위한 행사다. 마룻대에 넣는 상량문에는 공사의 내력과 참여자 명단, 남아 있는 공사의 안전과 무사를 기원하는 축원을 적는다. 이날 상략식에서 술잔을 올리는 헌관은 조청식 수원 제1부시장이 담당했다.
우화관(于華館)은 화성행궁에 있는 여러 건물 중 가장 먼저인 1789년 건립된 건물이었다. 임금을 상징하는 ‘전(殿)’을 새긴 나무패를 모신 객사로, 1795년 을묘년 정조 행차 때 우화관이란 이름을 받았다. ‘우화관’은 아름다운 서울로 들어가는 관청이란 뜻으로, 정조는 수원화성에 사는 백성들이 모두 부유하고 즐겁기를 바라는 마음을 이름에 담았다고 전해진다.
우화관에서는 문과 과거 시험이 치러지기도 했고, 외국 사신과 관리들의 숙소이자 연회장소로 이용되기도 했다. 그러다 근대로 접어들며 1905년 수원군공립소학교로 이용됐고, 2020년 일제 강점기에는 수원공립보통학교가 건립되며 철거됐다.
우화관과 함께 별주 등이 내년도 하반기 복원사업을 완료하면, 화성행궁에서 유구(주춧돌, 기초공사 등 건물이 있었음을 알 수 있는 흔적)가 발견된 모든 건물이 복원돼 지난 1995년 시작된 복원사업이 모두 종료된다.
그러나 일제강점기를 거치며 화성행궁은 병원과 학원 등으로 사용돼 멸실됐다. 수원시는 1995년부터 복원사업을 시작해 중심 건물인 봉수당 등 482칸의 복원을 완료했다.
조청식 제1부시장은 “화성행궁이 완전한 모습으로 복원되면 수원화성과 화성행궁, 화령전 등이 어우러져 국제적인 관광자원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김중래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