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년보다 91곳 늘어 화재예방·현장대응 강화
|
경기소방재난본부 앰블란스. |
경기소방본부는 취약지역 안전관리 강화를 위해 남부본부 760곳, 북부 242곳 등 모두 1002곳이 선정됐다. 이는 지난해 911곳보다 91곳이 더 늘어난 수치다.
화재안전 중점관리대상은 소방시설법이 정한 소방시설을 갖춰야 하는 특정소방대상물 중 재난상황 발생 시 다수 인명피해 발생이 우려되는 시설로, 화재이력·소방시설·건물 구조 등을 고려해 필수지정대상 514곳, 심의지정대상 488곳으로 나눠 선정했다.
필수지정대상은 소방청 예규 57호가 정한 화재안전중점관리대상 가운데 대형 건축물,의료시설,숙박시설 등 필수지정대상에 속하는 대상물로, 도내에는 의료시설 146곳 대형 건축물 129곳 ▲다중이용업소 11곳 ▲노유자 시설 92곳 ▲숙박시설 35곳이다.
심의지정대상은 고층빌딩,판매시설,지하상가 등 심의지정대상에 속하는 시설 중 소방서장이 심의를 통해 지정하는 대상물로 ▲공장·창고 113곳 ▲판매시설 82곳 ▲복합건물 71곳 ▲다중이용업소 39곳 ▲지하상가 4곳이다.
경기소방본부 관계자는 “도내 건축물이 점차 복합화·대규모화하고 있어 화재안전 중점관리 대상을 더욱 확대했다”며 “선정한 대상에 대해 주기적으로 소방특별조사와 관계인 소방훈련·안전교육을 w진행해 화재예방과 현장대응에 빈틈이 없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신동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