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차전지 관련 기업 유치 활기
비즈니스센터 등 관련시설 필요
도 “건설사업 민자유치 어려워”
1일 전북도에 따르면 새만금신항은 2040년까지 총사업비 3조 2476억원을 투입해 5만t급 부두 9선석과 배후부지 451만㎡를 조성할 계획이다. 2선석은 3년 후인 2026년 개항을 앞두고 있다.
그러나 2027년 이후 건설되는 부두와 배후부지는 민간자본으로 건설할 계획이어서 차질이 예상된다. 이용률이 낮은 신항만의 특성상 민자 유치가 어렵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새만금신항의 배후부지 건설 계획을 국가 재정사업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게 전북도의 입장이다. 글로벌 경기 침체와 높은 금리로 민자 유치 여건이 최악인 상황이어서 배후부지 개발이 장기 표류할 가능성이 높다는 판단에서다.
김관영 전북지사는 지난달 전북을 방문한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에게 “새만금신항 배후부지를 국가 재정사업으로 추진해 줄 것”을 건의했다. 항만공사가 없는 항구는 국가재정 100%로 배후단지를 개발한다는 ‘항만 배후단지개발 종합계획의 투자 재원 분담 기준’도 제시했다.
전북도 관계자는 “최근 새만금지구에는 이차전지 관련 업체 등 기업 유치가 활기를 띠고 있어 새만금신항 배후부지 건설이 시급해졌다”면서 “새만금신항 배후부지 건설사업은 민자 유치가 어려운 만큼 국가경쟁력 강화 차원에서 시급히 재정사업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주 임송학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