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학 연구선도 사업이 더욱 진흥되고 이에 대한 사업 확대 주문
서울의 역사, 조선을 넘어 근현대 서울시민 생활·행동양식과 문화에 대한 학술적 정립
“한반도 중심 사상으로까지의 발전 기대”
문 서울시의원은 ‘서울학’ 용어 사용에 대해 “아직까진 정식 학문이나 사상으로 인정되지 않은 연구 단계의 용어임에도 불구하고 한반도 심장 서울에 관한 차별화된 연구를 위해 직접 내걸고 선도함은 매우 바람직하다”라며 출석한 서울역사박물관장 직무대리를 향해 극찬했다.
문 의원은 “서울역사박물관은 서울에 대한 역사는 물론 그야말로 서울시민의 생활·행동양식과 스스로 만든 문화를 한눈에 볼 수 있는 중요한 학술적 장소이므로 서울학 연구 사업을 더욱 확대하기를 바란다”라며 서울역사박물관이 단순한 유물 전시실이 아님을 강조했다.
또한 문 의원은 회의를 마친 후 “옆 나라 일본에서는 일찍이 에도막부 시절 스스로 문화를 정리해 국학이라는 학문으로 만들었으며, 이를 토대로 일본 고유의 정신과 사회의 지표로 삼았다. 이에 따라 와(和)라는 표어는 일본인이 근본으로 따지는 기본 생활양식으로 자리 잡았다. 그들보다 더 훌륭한 역사를 가진 서울시가 이러한 학문 하나 제대로 정립되지 못한 것은 안타까운 일”이라며 서울학 정립의 시급함을 주장했다.
덧붙여 문 의원은 “홍익인간이라는 훌륭한 국시이자 교육이념이 있는데도 국학이라고 할 정도로 정형화된 학문은 아직 아쉬운 수준이라 본다. 서울역사박물관의 ‘서울학’ 연구선도 사업이 더욱 확대되어 한반도를 대표하는 국학의 조선시대와 근현대적 시점의 기틀이자 중심 사상으로까지의 발전을 기대한다”라며 해당 사업의 진흥과 발전을 위해 함께 도울 것임을 다짐하며 말을 마쳤다.
온라인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