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재단 정책연구실장 “서울시에서 단순한 기술통계값 차이, 유의성 검증도 하지 않은 상태에서 효과가 있다고 발표해 버림”
김경 의원(더불어민주당·강서1)은 지난 제320회 임시회 보건복지위원회 회의에서 안심소득 성과 발표의 진위에 대해 지적했다.안심소득 시범사업은 서울시 저소득층 가구(중위소득 85% 이하, 재산 3억 2,600만원 이하)를 대상으로 중위소득과 가구소득 간 차액의 절반을 지원하는 제도로, 소득보장 정책실험이다.
지난해 7월부터 시행한 안심소득 시범사업의 1차 중간조사 결과(2022.7 ~2023.1)를 공유, 공정하고 객관적인 평가분석 모델 정립 등을 모색하기 위해 최근 ‘서울 안심소득 특별세션’이 열리기도 했다.
김 의원은 “1차 중간조사 결과 삶의 질 향상이라는 긍정적 효과가 나타났다고 서울시에서 발표했다”라며 “서울복지재단의 류명석 정책연구실장의 보고대로 단순한 기술통계값이라면 통계적으로 유의성 검증도 하지 않은 상태에서 효과가 있다고 발표하는 것은 왜곡”이라고 설명했다.
김 의원은 “예를 들어 자존감 수치를 확인해보면 약 2%로 개선됐다고 발표했지만, 지원가구는 28.17에서 29.04로 올랐고 비교가구는 28.03에서 28.31로 오르며 각각 0.87과 0.28만큼 올랐다”며 “두 개 가구의 차이가 0.59밖에 되지 않고 뿐만 아니라 이 수치도 통계적으로 차이 검증도 하지 않았는데 어떻게 효과가 있다고 주장하는지 모르겠다”며 이 같은 해석은 사기와 다름없다고 비판했다.
온라인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