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동 일대에는 가족 단위 방문객과 외국인 관광객, 삼삼오오 모인 MZ세대로 축제 기간 내내 북적였다. 13일 늦은 저녁 축제의 시작을 알린 고궁음악회는 덕수궁 중화전 앞에서 남녀노소가 모두 즐길 수 있는 신명 나는 무대를 꾸몄다. 가을밤 은은한 조명이 켜진 덕수궁 돌담길엔 ‘조명발’을 기대하며 셔터를 누르는 사람들로 촘촘하게 채워졌다.
평소엔 일반인에 공개되지 않는 영국대사관, 캐나다대사관엔 사전 신청에 당첨된 시민들로 붐볐다. 콜린 크룩스 영국대사는 개막식에서 “저는 덕수궁 옆집에서 왔다”며 “영국 대사관은 140년 전 정동에 자리 잡은 뒤 대한민국의 발전을 지켜봤다”고 말하기도 했다.
한국 개신교 최초의 서양식 예배당인 정동제일교회 벧엘예배당에선 오르간 듀오 연주가 열렸다. 공연을 찾은 한 시민은 “천상의 소리가 마음을 묵직하게 울렸다”고 소감을 남겼다. 국립정동극장에선 커피와 음악이 어우러진 ‘정동 다향’ 공연이 열렸다. 참가자들은 흥겨운 우리 가락과 차를 음미하며 각자 ‘향기로운 선율’을 즐겼다. 정동야행에 몰린 인파 관리를 위해 중구는 행사장에 안전요원 300명을 배치하고 경찰 등과 소통하며 안전하게 축제를 진행했다.
김길성 중구청장은 “근대역사문화의 보고인 정동은 그 자체로 소중한 자원”이라며 “앞으로도 정동야행 축제가 그 명성을 이어가도록 더욱 알차고 의미 있는 프로그램을 준비해 다시 오겠다”고 말했다.
서유미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