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 챗봇 등 3대 프로젝트
내년 서울스마트시티엑스포
해외 도시 100여곳 참여 목표
서울디지털재단은 AI 일상화를 앞당기기 위한 혁신사업을 공공기관·지자체 최초로 추진한다고 26일 밝혔다. 재단은 이날 기자설명회를 열고 서울시민 AI 일상화 3대 프로젝트를 발표했다.
3대 프로젝트 가운데 하나는 생성형 AI 기반 이상행동 탐지 추적 시스템 개발이다. 공공기관 최초로 AI가 폐쇠회로(CC)TV 영상을 텍스트화해 실시간으로 상황을 파악하고 관제센터에 전달한다. 이상행동자가 흉기 등을 옷 속에 숨겨도 추적이 가능하다는 게 특징이다. 재단은 서울교통공사와 협력해 내년도 1개 역사(5호선) 실증, 2025년 모든 역사로 확대할 계획이다. 소형 대규모언어모델(sLLM)을 통한 어르신 디지털 상담 챗봇 및 AI 윤리가이드라인도 만든다.
아울러 재단은 내년 10월 강남 코엑스에서 서울스마트시티엑스포(SSCE)를 개최한다. 지방자치단체가 처음 개최하는 스마트시티 국제행사다. 해외도시 100개 이상, 조성부스 500건 이상, 참가자 2만명 이상, 초청연사 150명 이상을 목표로 준비 중이다.
강요식 서울디지털재단 이사장은 “서울스마트시티엑스포는 글로벌 최우수 스마트시티인 서울시가 우수정책을 해외에 공유하고, 교류를 확산하여 위상을 더욱 높인다는 데에 의미가 크다”고 밝혔다. 또 “정부의 디지털 권리장전 및 AI 일상화 계획에 발맞춰 서울시민의 안전·편의를 높이기 위한 첨단 AI 공공서비스 개발·확산에도 앞장서겠다”고 덧붙였다.
장진복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