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상양식장 20개소 모니터링, 최적 양식장 관리 매뉴얼 개발
전라남도해양수산과학원이 전남지역 양식산업의 주축인 전복과 넙치 육상양식장을 대상으로 최적의 양식 조건 연구에 속도를 내고 있다.2027년까지 5년간 추진되는 이번 연구는 4억 원의 예산을 들여 육상양식장 20개소를 모니터링한 뒤 최적의 양식장 관리 매뉴얼을 개발해 양식 어가에 보급하고 소득증대에 기여한다는 방침이다.
이에 따라 2023년 양식장별 환경조사와 양식 관리 실태 기초자료 확보에 이어 올해는 품종별 생산성 증감 요인 분석과 생산량 감소를 최소화하는 연구에 주안점을 둘 예정이다.
전복 양식업은 우량종자 확보가 생산성에 직결되는 만큼 전복 종자 배양장을 대상으로 수온과 용존산소, 먹이, 질병 등을 분석해 건강한 우량종자 생산 조건 찾기에 초점을 맞춘다.
또 넙치 양식업은 생사료 공급난과 수온 상승에 따른 질병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는 어장 환경에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해 주 3회 양식 환경조사와 함께 양식시설과 방법이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개선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김충남 전남도해양수산과학원장은 “2027년까지 지역맞춤형 양식장 관리 매뉴얼을 개발해 보급할 계획”이라며 “자연재해에 신속하게 대응하고 생산량 감소 위협요인을 해소하는 등 어가 경영 안정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무안 류지홍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