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릉 39만㎡ 등 주거용 전환 대화
고양 “시 전체 자족시설 너무 부족
차라리 GTX역 복합개발이 낫다”
국토교통부는 지난해 9월 공공주택 공급물량을 3만 가구 확대 공급한다고 발표했다. 이를 위해 3기 신도시 일부 지역에서 용적률을 높이거나 공원녹지 또는 자족용지 비율을 줄여 주거시설을 더 짓기 위한 관계기관 협의가 진행 중인 것으로 16일 알려졌다.
고양창릉 공공주택지구의 경우 당초 자족시설용지였던 유보지 39만 5507㎡를 주거시설용도로 전환하는 방안이 논의되는 것으로 전해졌다. 경기 고양시 관계자는 “고양시 전체적으로 자족시설이 너무 부족해 당초 자족시설용지였던 유보지에 주거시설을 짓도록 할 순 없다”며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이어 이 관계자는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창릉역과 경전철 역세권을 복합개발해서 공동주택·상업시설·업무시설을 지을 수 있도록 하는 게 낫다”고 했다.
경기 하남시도 자족시설용지 68만 2000㎡ 중 약 9700㎡를 주거시설이 입주할 수 있도록 검토 중이다. 공원시설 용지도 축소하는 방안이 검토 중이다. 남양주 왕숙지구(22만 4049㎡)와 왕숙2지구(13만 4796㎡) 자족시설 용지도 축소해 주거시설을 입주시키기 위해 관계기관과 협의 중이다. 5개 지역 3기 신도시 평균 용적률은 196%, 자족용지는 13.8%, 공원녹지는 34% 수준이다.
이와 관련, 김운남 고양시의원은 “당초 정부가 발표한 창릉신도시 성격의 핵심은 자족기능을 갖춘 도시였는데 지금은 자족기능은 축소하고 오로지 주택공급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다”면서 “자족기능 강화를 위한 구체적 계획이 미흡해 정부 차원의 배려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상봉 기자
2024-05-17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