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영시의회 역사 왜곡 중단 촉구 결의안 채택에 여수 종고회 반박
최초 삼도수군통제영을 놓고 벌어진 전남 여수와 경남 통영의 역사 논쟁이 갈수록 심화되고 있다.
통영시의회는 지난 14일 여수시의 최초 삼도수군통제영은 여수라는 주장에 대해 ‘삼도수군통제영 침탈 행위 및 역사 왜곡 중단 촉구 결의안’을 채택했다.
이에 여수종고회 등 여수 지역 사회는 18일 통영시의회는 역사를 왜곡하지 말라며 즉각 반박에 나섰다.
여수종고회는 “임진왜란 시기 여수는 전라좌수영 겸 최초의 삼도수군통제영이었다”며 선조가 내린 최초의 삼도수군통제사 임명장에 해당하는 교서(敎書)를 그 근거로 제시했다.
이어 이순신의 편지글인 답현지평덕승(答玄持平德升)의 내용에 ‘한산도로 나아가 진을 쳤다’는 구절로 미뤄 한산도는 전라좌수영 겸 삼도수군통제영의 진(陳)이었다고 이 단체는 주장했다.
한산도를 삼도수군통제영의 본영이라고 우기는 것은 전라좌수영의 수군이 본영을 그대로 유지한 채 작전상 다른 곳에 진을 치고 주둔지를 전라좌수영의 본영이라고 주장하는 것과 다르지 않다고 지적했다.
특히 통영이 최초 삼도수군통제영이라면 선조가 1대 이순신, 2대 원균 3대 이순신, 4대 이시언을 경상우수사가 아닌 전라좌수사 겸 삼도수군통제사로 임명한 이유를 어떻게 설명할 것이냐고 반문했다.
여수종고회는 이어 “전라좌수사를 비롯한 좌수영의 수군이 경상우수영의 한산도에 비교적 장기간 주둔했다고 해서 전라좌수영이 경상우수영이 되지도 않고 전라좌수사가 경상우수사가 되지도 않는다”고 거듭 강조했다.
여수시의회도 조만간 통영시의회 결의에 반박하는 내용의 결의안을 채택하는 한편 여수, 통영이 함께하는 학술대회도 제안할 예정이어서 양측의 논쟁은 당분간 계속될 전망이다.
한편 통영시의회는 “난중일기와 이충무공전서 등 임진왜란 사료와 고증 자료 대부분에서 ‘한산도가 최초의 삼도수군통제영’이라고 되어 있고 국가유산청 역시 통영을 최초 통제영이라고 인정해 논란의 여지가 없다”며 “여수는 전라좌수사의 본영, 한산도는 최초 삼도수군통제사의 본영”이라고 주장했다.
여수 류지홍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