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선정 현판 2점, 전남도 유형문화유산 지정
충무공 이순신 장군이 활 쏘기 연습을 했던 순천 환선정의 ‘현판’이 전라남도 유형문화유산으로 지정됐다.
환선정은 순천 남문 연자루와 함께 조선시대 순천의 2대 상징 건축물이다. 난중일기에는 이순신 장군이 환선정에서 활쏘기 수련를 했다는 기록이 나온다. 순천 죽도봉에 위치했던 환선정은 현재 팔마경기장 옆으로 이전했다.
8일 순천시에 따르면 조선시대 순천의 도시 상징 건축물 ‘순천 환선정 현판’이 전라남도 유형문화유산으로 지정됐다. 순천 환선정 현판은 1543년 순천부사 심통원이 동천 인근에서 활쏘기를 연습하는 사정(射亭)과 휴식, 정무 공간으로 지은 환선정에 걸린 현판 2점이다.
1613년 배대유 선생이 쓴 현판(가로 1m30㎝·세로 55㎝)과 1886년 순천부사 이범진이 쓴 현판(가로 3m40㎝·세로 1m20㎝)이다.
이범진 현판은 규모가 일반 현판의 3배 크기로 압도적이다. 초서로 쓴 글씨는 필획의 부드러움과 큰 글자가 주는 웅장함 등에서 창의적 예술성을 보여준다. 특히 이범진은 대한제국 초대 러시아 공사로 아들 이위종 지사와 함께 1907년 헤이그 특사 활동을 지원하고, 국치를 당하자 순절한 애국지사다.
노관규 시장은 “이번에 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순천 환선정 현판은 서체가 웅건하고 활달하며, 크기가 대형이라 서예사적 의미를 넘어 역사적, 예술적 가치를 모두 인정받았다”며 “앞으로 이를 활용한 다양한 콘텐츠 개발에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순천 최종필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