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록 전남지사 “의대 정원과 전남 국립의대 신설은 별개”
이병운 순천대 총장 “국립의대 설립 노력 끝까지 지속”
정부가 의대생들의 복귀를 전제로 내년도 의과대학 정원을 동결하기로 해 전남 국립의과대학 설립이 무산될 위기에 놓였다.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은 지난 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학생 복귀 및 의대 교육 정상화 관련 브리핑에서 의대 총장·학장단이 건의한 내년도 의대 모집인원을 증원 전인 3058명으로 조정하는 안을 수용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2026년도 의대 정원 증원이 사실상 동결됨에 따라 200명 규모로 추진해 왔던 전남도의 의과대학 신설은 또다시 난항이 예상된다.
김영록 전남지사는 이날 송하철 목포대 총장과 함께 이주호 부총리를 만나 의대 증원과 별개로 전남도 국립의과대학 신설과 정원 배정을 최우선으로 추진해줄 것을 촉구하는 등 반발하고 있다. 김 지사는 “정부의 1도 1국립대 정책에 적극 부응해 국립목포대와 국립순천대의 대학통합까지 끌어내는 노력까지 기울여 ‘통합대학교 국립의과대학’을 정부에 추천했다”며 “정부는 전남 국립의과대학 신설 방침을 조속히 마련해 약속을 이행해달라”고 요청했다.
목포대와 순천대도 “전남의 의료 환경 개선과 의료 인력 양성을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며 “국립의대 신설은 흔들림 없이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병운 순천대 총장은 입장문을 내고 “정부의 의대 정원 결정은 존중하되, 전남 국립 의대 설립을 위한 노력은 끝까지 지속할 것이다”고 의지를 보였다. 이 총장은 “도민 건강권과 생명권 보장을 위해 전남 의대 신설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시대적 과제다”며 “의대 신설을 목표로 한 대학 통합은 대학 구성원과 목포대와의 협의를 통해 차질 없이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목포대도 “도민들의 지지를 받으면서 정부와의 대화에서도 긍정적 반응을 이끌어내고 있었다”며 “지금까지의 성과를 바탕으로 지역민들의 염원을 모아 더욱 강한 의지와 노력으로 의대 신설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무안 최종필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