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도강 ‘국평’ 평균 아파트값 6억~8억
주담대 6억 적용돼도 기존과 차이 없어
일부 집주인 호가 상승 기대, 매물 거둬
정책대출 한도·학습효과에 상승폭 한계
정부가 수도권 주택담보대출 한도를 6억원으로 제한하면서 ‘똘똘한 한채’ 선호가 주춤하자, 서울 내 규제를 비켜 간 ‘노도강’(노원·도봉·강북구)에선 반사이익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노도강 일부 집주인들은 호가를 높이려 기존 매물을 거둬들이려는 움직임도 보인다. 다만 정책자금대출 한도까지 줄고 집값 하락기에 가장 먼저 냉각된 선례가 있는 만큼 상승 폭엔 한계가 있을 것으로 분석된다.
2일 KB부동산에 따르면 지난 5월 기준 노원구의 전용면적 84㎡ 평균 아파트값은 8억 364만원이다. 같은 기준 도봉구와 강북구의 평균 아파트 가격은 각각 6억 7833만원, 7억 1387만원이다.
수도권 주담대 6억원 한도가 적용되더라도 집값이 8억 5000만원 수준일 때는 주택담보대출비율(LTV) 70% 내에서 대출 한도가 기존과 크게 차이가 없다. 노도강은 ‘국민평형’ 평균 아파트값이 6억~8억원 수준이다 보니 ‘금관구’(금천·관악·구로구), 중랑구와 함께 이번 초강력 대출 규제를 피한 대표적 지역으로 꼽힌다.
노도강 매수 수요 확산 가능성에 일부 집주인들은 호가 상승을 기대하며 기존에 내놨던 매물을 거둬들이는 추세다. 부동산 빅데이터 플랫폼 아실에 따르면, 노원구 아파트 매물은 규제가 적용되기 전인 지난달 18일 6823건에서 이날 6789건으로 0.5% 줄었다. 도봉구 아파트 매물은 2983건에서 2946건으로 1.3% 감소했다. 다만 강북구는 아파트 매물이 소폭 늘었다.
함영진 우리은행 부동산 리서치랩장은 “똘똘한 한 채 선호 현상이 일부 주춤할 것”이라면서 “6억~8억원대 매입이 가능한 노도강과 금관구 등 서울 외곽 지역에 풍선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이은형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대출한도가 전반적으로 축소되다 보니 중저가 주택 매매 시장에 일부 영향을 끼칠 수 있다”고 했다.
일종의 ‘학습효과’도 노도강 집값 상승 폭을 제한하는 요인으로 지목된다. 지난 2021~2022년 집값 급등기에 노도강은 뒤늦게 상승세를 추격하는 흐름이었지만, 2023년부터 부동산 한파가 시작되자 가장 큰 낙폭을 보이며 가장 먼저 집값이 떨어졌다.
지난 3월 토지거래허가구역 확대 재지정 당시에도 반사효과로 노도강은 3개월 만에 아파트값이 상승 전환하는 등 반짝 회복 조짐을 보였지만 이내 거래가 줄면서 분위기가 냉각됐다.
세종 옥성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