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예술축제 기획자들 인터뷰
김주섭(왼쪽) 사단법인 문화문 대표와 김정오 문화발전소 열터 대표는 젊은 국악인들의 경연대회 ‘대한민국대학국악제’와 경기 화성 봉담 공동체와 소통하는 ‘ 생생우리음악축제’를 각각 기획하며 전통음악을 기반으로 한 축제의 장을 만들고 있다.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제공 |
올해 전국의 공연예술축제를 하나의 브랜드로 묶은 ‘아르코 썸 페스타’가 처음 시작됐다. 한국문화예술위원회는 그동안 개별 운영되던 축제들이 한 이름으로 협업해 시너지를 높일 수 있게 돕는 한편 홍보·마케팅을 지원해 축제가 더 많은 관객과 만나게 하기 위해 이번 프로젝트를 추진했다.
지난 8일 서울 대학로 예술가의집에서 만난 ‘대한민국대학국악제’의 김주섭(사단법인 문화문 대표) 예술감독은 아르코 썸 페스타에 대해 “우산 속에 있는 듯하다”면서 “홀로 하면 외롭고 쉽게 지치는데 정부 기관이 관심을 갖고 외곽 지원을 해 주니 든든하다”고 부연했다.
14회를 맞는 대한민국대학국악제는 국내 유일의 창작 국악 경연대회로, 젊은 국악인 사이에서는 실력을 인정받는 관문으로 평가된다. ‘조선팝’으로 활약하는 서도밴드, 해외 팬덤이 공고한 상자루, 판소리 ‘심청가’ 이수자 김진아 등을 배출했다.
이날 본선 진출 팀을 심사했다는 김 감독은 “예전에는 40팀 안팎이 지원했는데 이번에는 19팀 정도에 그쳤다. 아마도 올해 우승 상금(500만원)이 절반으로 줄어 그런 게 아닌가 싶다”고 털어놨다. 저조한 참여가 아쉽긴 하지만 신선한 국악의 탄생을 희망하며 오는 14일 서울 강북문화예술회관 소나무홀에서 열리는 본선을 기다리고 있다고 했다.
‘생생우리음악축제’를 기획한 김정오 문화발전소 열터 대표도 “처음에는 공연할 만한 공간을 찾는 게 힘들었는데 지금은 지역 공동체가 많은 협조를 해 주고 있다”면서 “우리 음악은 경험하지 않으면 몰라도 한 번 경험하면 누구나 좋아하게 되는 매력이 있다는 방증”이라고 했다.
두 기획자는 전통음악의 가능성을 생생히 목격했다. 하지만 K팝의 인기가 절정을 찌르는 이 순간에도 전통음악에 관한 관심과 지원은 여전히 적은 게 현실이다. “통합 브랜드로 묶여 같은 장르의 축제를 하는 사람들과 고충을 나누고 방향성을 함께 고민할 수 있다는 데 위안을 느끼고 있다”고 입을 모았다.
최여경 선임기자
2025-08-11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