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중구 “명절 준비는 전통시장에서”…최대 2만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노원 ‘지반침하 신속 대응체계’ 구축 완료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강동 ‘움스프렌즈’ 지자체·공공 캐릭터 최우수상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강남, 축제 현장 찾아가는 세무상담 인기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벌어진 상처 사이 비집고 나온 사랑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스릴러 혹은 로맨스… 희곡 같은 삶을 읽어내려가다

절창
구병모 지음/문학동네/352쪽/1만 8000원

구병모 작가. ⓒ서유석


산다는 건 어쩌면 한 편의 희곡 대본을 ‘읽는’ 일. 인생이 흔히 연극에 비유되는 건 우리가 대본에 쓰인 문장의 언어, 운명의 바깥으로 나아가기 어렵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이따금 배우가 기지를 발휘해 멋진 애드리브를 구사할 때가 있다. 극작가도 연출가도 의도하지 않은 배우만의 오롯한 의지가 작동하는 시간. 바로 사랑할 때. 그 환희와 열락의 순간. 소설가 구병모(49)가 매혹적인 신작 장편 ‘절창’으로 돌아왔다.

●상처를 만지면 생각을 읽는 능력… 오묘한 행위들

“책을 읽었다 하여 훌륭한 인간이 된다는 보장은 없으며, 때로는 뱀의 몸통을 손으로 붙잡는 식으로 책을 이상하게 읽고서 오히려 사회에 해악을 끼치는 인간이 되는 경우도 없지 않지만, 보통은 책을 읽고 난 뒤 별다른 일이 일어나지 않는 것, 그게 가장 일어나기 쉬운 일입니다. 무용하면 무용한 대로 다만 이어가는 것, 그것이 읽기 아닐까요. 읽기의 자리에 살기를 넣으면 어떻습니까.”(205쪽)




다소 생소한 한자어인 제목 ‘절창’(切創)은 ‘벌어진 상처’라는 뜻이다. 소설 속 아가씨로 불리는 여성은 독특한 능력을 지니고 있다. 다른 사람의 상처에 손을 대면 그 사람의 생각을 읽을 수 있다. 왜 이런 힘이 생겼는지는 도저히 모른다. 부모의 생사도 모른 채 보육원에서 자란 아가씨와 그 능력을 알아보고 자신을 읽게 하려는 미스터리한 남자 오언 사이의 공생. 그것을 사랑이라고 불러야 할지, 아니면 ‘스톡홀름 증후군’으로 진단하는지에 따라서 소설은 로맨스가 되기도, 스릴러가 되기도 한다. 그러나 멋진 소설이 으레 그렇듯, 구병모의 소설도 어느 하나에 고정되진 않는다.

“노자의 ‘도덕경’ 가운데 한 줄을 불러줄 테니 이건 받아 적으렴. … 천지불인 이만물위추구, 하늘과 땅 같은 자연은 그냥 존재할 뿐이지 딱히 어진 마음을 갖고 있지 않으며, 인간 따위 만물의 입장에서는 짚으로 엮은 개만도 못하다는 뜻이야. 그러니 너의 눈앞에 있는 한 권의 소설은 그 무의미의 운명에 어떻게든 의미 비슷한 걸 부여해 보고 죽으려던 예술가들의 오랜 싸움과 필연적인 패배의 흔적이야.”(302~303쪽)

●대사인 듯 문장인 듯, 무대 위 춤추듯 어우러짐의 향연

‘읽는 것’과 ‘사는 것’은 둘 다 무위(無爲)하다는 점에서 같은 일이다. 필멸하는 존재들로 가득한 세계에서 소설이라고, 문학이라고, 예술이라고 다를 바 있겠는가. 공(空), 텅 비어 있는 세계에서 ‘진실한 허구’를 추구하는 소설은 나름대로 무한을 꿈꾸지만, 언제나 실패하고 만다. 죽음은 소설의 마지막 문장을 쓰는 것에 불과하며, 책의 마지막 페이지를 덮는 일과 다름없다.

“‘어느 날 내가 갑자기 죽어버릴 때까지, 필요하다면 세상 모든 인간을 읽어줄 수도 있어.’ 아니지 않더라도, 아니기를 선택한다면. 나는 고개 들어서 오언의 얼굴에 드리워진 패착의 그늘과 길 잃어 흔들리는 눈동자를 올려다보며, 마지막 한마디의 선언으로 그를 힘주어 밀어냈지. ‘하지만 당신만은 절대로 안 읽어.’”(268쪽)

살인을 저지르는 데에도 주저함이 없는, 심지어 나의 인신을 구속하고 있는 남자. 그를 사랑할 수 있을까. 배덕(背德)의 사랑은 이야기의 진행과 함께 절정으로 나아간다. 인간이 가장 알고 싶은 것, 그러나 동시에 가장 알기 싫은 것. 그것은 사랑하는 이의 마음이다.

구병모 특유의 유장하면서도 예스러운 문장이 독자의 심연으로 파고들어 삶의 의미를 되새기게 만든다. 영국의 전설적인 극작가 윌리엄 셰익스피어(1564~1616)의 ‘한여름 밤의 꿈’, ‘리어왕’, ‘로미오와 줄리엣’ 등에서 길어 올린 아름다운 대사가 소설의 문장과 춤을 추듯 어우러진다. 문학을 사랑하는 독자에게 구병모가 누구인지 줄줄 설명하는 것은 큰 의미가 없을 것 같다. 작품에서 한 문장을 꼽자면 이것이다.

“상처는 사랑의 누룩이며, 이제 나는 상처를 원경으로 삼지 않은 사랑이라는 걸 더는 알지 못하게 되었다. 상처는 필연이고 용서는 선택이지만, 어쩌면 상처를 가만히 들여다봄으로 인해, 상처를 만짐으로 인해, 상처를 통해서만 다가갈 수 있는 대상이, 세상에는 있는지도 모르겠다고.”(344쪽)

오경진 기자
2025-09-26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