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제 성공 모델 분석으로 소나무재선충병 해결책을 찾다!
- 국립산림과학원, 제주도 방제 성공 사례 분석을 통한 과학적 방제 방안 제시 -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원장 배재수)은 2013년부터 2024년까지 10년간의 제주도 소나무재선충병 방제 데이터를 분석하여 제주지역의 소나무재선충병 방제의 네 가지 성공 요인을 제시하였다.
첫째, 체계적인 방제전략 수립이다. 정확한 피해 현황 파악을 토대로 구체적인 방제전략도와 방제우선순위도를 작성하여 단계별 전략을 수립했다. 방제전략도는 피해상황을 토대로 확산거점과 집중관리지역에 맞게 사업구를 구획하고 그에 적합한 방제방법들을 전략적으로 배치한 도면이다. 방제우선순위도는 예찰과 방제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사업구별로 방제 우선순위를 결정하여 작성한 도면이다.
둘째, 피해 상황에 맞는 방제 방법의 시행이다. 피해 ‘극심 및 심’ 지역과 피해 최외곽 지역에 소구역 모두베기와 소군락 모두베기를 시행했다. 소구역 모두베기는 1그루 또는 다수의 피해 고사목으로부터 일정한 거리 안에 있는 모든 소나무를 벌채하는 방제 방법이고, 소군락 모두베기는 일정한 규모 이하로 군락을 이루고 있는 소나무류를 모두 벌채하는 방제 방법이다. 이러한 방제 방법은 기존 단목 벌채에서는 제거할 수 없는 비병징 감염목을 제거하는 데 효과적이다. 비병징 감염목은 겉보기에는 건전한 나무처럼 보이나 이미 재선충에 감염되어 이듬해 고사하므로, 소나무재선충병의 확산 원인이 된다.
셋째, 나무주사를 통한 예방접종이다. 소나무재선충병 예방 방법은 약제를 이용한 항공방제와 지상방제, 매개충 유인페로몬트랩 등이 있다. 이 중, 소나무재선충병 예방을 위한 나무주사 접종 비율이 2015년부터 현재까지 평균 68.7%로 가장 높아 나무주사 예방접종의 필요성이 강조되었다. 특히 한라산 국립공원 등 주요 보호지역으로의 확산 저지와 집중피해지역의 피해저감을 위해 지속적으로 나무주사 예방법종을 시행한 것이 예방 및 확산을 방지하는데 기여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방제 효과를 높이는 철저한 사후 관리이다. 제주도는 방제목(벌채산물)의 93% 이상을 열병합 발전소 원료, 펠릿, 톱밥, 비료 등으로 활용하였다. 특히, 인력 및 기계화 산물 수집과 피해 임지에 적합한 작업장 개발로 작업의 효율성을 제고하여 재발생률 감소 및 방제 효과를 극대화했다.
제주도는 2014년 기준 소나무재선충병 피해목이 54만 그루까지 증가했으나, 2020년 이후 피해 고사목을 관리 가능한 2만 그루 수준으로 유지하고 있어 대표적인 소나무재선충병 방제 성공 사례로 꼽힌다.
국립산림과학원은 11일(금), 제주도에서 열린 소나무재선충병 방제 심포지엄에서 과학적 근거에 따라 분석된 소나무재선충병 방제 성공 요인을 소나무재선충병 담당 공무원 등을 대상으로 공유하였다.
또한 이번 심포지엄에서는 소나무재선충병 방제 성공 사례를 적극행정과 정부혁신의 우수사례로써 공유하며 담당 공무원들의 방제 의지를 고취하고, 실무자들과 소나무재선충병의 성공적인 방제방안을 모색하는 시간을 가졌다.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병해충연구과 남영우 임업연구사는 “제주도의 소나무재선충병 방제 성공 사례 분석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피해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그에 맞는 방제전략을 수립하고 방제를 시행한다면 더 많은 지역에서 방제 성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