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역 맞춤형 환경보건 정책, 기후변화·빅데이터 등 과학 기반 정책 수립 지원으로 지역별·계층별 맞춤형 환경보건 서비스 제공
환경부(장관 김완섭)는 3월 19일 환경유해인자*로 인한 건강 피해 조사·연구, 예방 및 관리 등을 위해 환경보건센터 4곳을 3월 19일자로 지정한다고 밝혔다.
* 사람에 의해 발생하는 대기·수질·토양·해양오염 등 환경오염과 유해화학물질 등
환경보건센터 4곳은 △지역지원형 환경보건센터인 강원대학교병원 및 단국대학교병원, △정책지원형 환경보건센터인 부산대학교 및 한국환경연구원으로 구성됐다.
이들 환경보건센터는 지난해 12월 31일을 기준으로 기존 환경보건센터 4곳의 지정 유효기간이 만료됨에 따라 올해 1월 20일까지 모집 공모 후 사업목적, 계획 타당성 및 수행 여건 등의 평가 과정을 거쳐 최종 선정됐다.
지역지원형 환경보건센터로 지정된 강원대학교병원과 단국대학교병원은 각각 강원도와 충청남도 지역을 대상으로 △지역 특성을 반영한 환경보건정책 수립 및 지원, △관할지역 내 환경보건 취약지역 도출, △취약지역 주민 건강조사(모니터링), △역학조사 지원 등을 수행한다.
정책지원형 환경보건센터로 지정된 부산대학교와 한국환경연구원은 각각 기후변화 대응 분야와 환경보건정보 빅데이터 분야를 맡는다. △부산대학교는 기후변화에 따른 환경유해인자 현황 파악 및 환경보건 격차* 분석, △취약계층 조사(모니터링) 및 피해 예방, △체감형 기후 및 환경보건 교육, △국가·지자체 단위 기후 및 환경보건 정책 지원 등을 수행한다.
* 거주지역, 연령 및 건강상태 등에 따라 기후·환경 위험에 노출되는 정도와 그로 인한 건강 영향이 다르게 나타나는 것
한국환경연구원은 환경·건강·사회 등을 연계한 환경보건 기초정보*를 통합 구축하여 △데이터 기반 환경보건 고위험 지역·집단 분석, △대국민 대상 맞춤형 정보제공 등을 수행한다.
* (환경·국토) 토지피복지도, 노후건물 및 환경위해시설 현황, (건강) 건강보험자료 및 사망원인별 사망자수, (사회·경제) 연령별 인구수, 경제활동 및 다문화 인구 등
이번에 환경보건센터 4곳이 지정됨에 따라 전국의 환경보건센터는 지역지원형 14곳*, 정책지원형 4곳** 등 총 18곳이 활동을 한다. 환경부는 앞으로도 지역 기반의 환경보건 대응체계를 구축하고 기후변화로 인한 환경유해인자의 건강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환경보건센터를 운영할 계획이다.
* 강원, 충남, 서울, 인천, 대전, 부산, 울산, 충북, 제주, 전북, 경남, 경기, 경북, 전남
** ①기후변화 대응 센터, ②환경보건정보 빅데이터 센터, ③환경보건 연구정보 센터, ④환경보건 건강영향정보 센터
박연재 환경부 환경보건국장은 "기후변화 등으로 인해 환경보건 대응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어린이, 노인 등 환경보건취약계층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한 예방적·선제적 대응이 필수적"이라며, "이번 환경보건센터 지정을 통해 체계적인 연구와 정책 개발을 추진하고, 모든 국민들이 환경유해인자로부터 안전하게 생활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붙임 환경보건센터 개요 및 지정·운영 현황.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