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유산청 국립해양유산연구소(소장 이은석)는 4월 8일 오후 3시 발굴조사의 안전과 풍성한 조사 성과를 기원하는 개수제를 시작으로 충남 태안군 마도 인근 해역에서 '마도4호선' 인양에 착수한다.
2015년 발굴조사를 통해 첫 확인된 '마도4호선'은 '광흥창(廣興倉)'이 적힌 목간, '내섬(內贍)'이 적힌 분청사기, 다량의 곡물 등 출수된 유물과 선박 구조 등을 통해 조선시대에 세금으로 거둬들인 곡물 등을 운반하던 조운선으로 밝혀진 바 있다. 역사적 기록으로만 남아있던 조선시대 조운선의 실체가 처음으로 확인되었으나, 그동안 선체 내부에 대한 조사만 이루어진 채 인양되지 못하고 바닷속에 고이 잠들어 있었다.
* 광흥창: 고려·조선시대 관료들의 녹봉을 담당하던 관청
* 목간: 문서나 편지 등의 글을 일정한 모양으로 깎아 만든 나무 또는 대나무 조각에 적은 것
* 내섬: 내섬시(內贍寺)의 줄임말로, 조선시대 궁과 전에 올리는 공물이나 2품 이상 관리에게 주는 음식 등을 담당하던 기관
국립해양유산연구소는 '마도4호선' 발굴 10주년을 맞이하는 올해, 총 14차수에 걸친 발굴조사를 통해 선체 인양을 추진한다. 약 600여 년간 바닷물을 머금은 선체 편들은 국립태안해양유물전시관에서 보존처리 될 예정이며, 선체 인양 후 그 주변 지점에 대한 추가 조사도 함께 진행된다.
이밖에 지난해 태안 마도 인근 해역 수중유산 탐사에서 고선박 선체편과 다양한 도자류가 발견되면서 고선박이 추가로 나올 가능성이 있는 유물집중매장지점에 대한 시·발굴조사와 탐사도 광범위하게 추진할 계획이다.
참고로, 태안 마도 인근 해역은 고려·조선시대 충청 이남 지역에서 거둔 세곡 및 공납품을 싣고 개경이나 한양으로 가기 위해 반드시 지나가야 하는 주요 교통로였다. 물길이 험하여 난행량(難行梁: 이후 안흥량安興梁으로 개칭)이라 불렸을 만큼 해난사고가 잦아 많은 배가 침몰한 지역으로, 『조선왕조실록』에 따르면 1392년부터 1455년까지 약 60여 년 동안 200척에 달하는 선박이 태안 안흥량에서 침몰했다고 전한다.
국가유산청 국립해양유산연구소는 2008년부터 2023년까지 태안 마도 인근 해역에서 총 10차례의 수중발굴조사를 통해 4척의 고선박(고려시대 선박 3척, 조선시대 선박 1척)과 자기류, 목간 등을 비롯한 다량의 삼국~조선시대 유물을 발견하는 성과를 거둔 바 있으며, 앞으로도 해양사 복원을 위한 연구와 발굴조사를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현존 유일한 조선시대 조운선 '마도4호선' 인양 착수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