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녹화기록물은 6.25 전쟁 이후 황폐해진 국토를 복구하기 위해 정부와 국민이 함께 추진한 산림녹화사업의 전 과정을 담은 자료로, 법령, 공문서, 사진, 필름 등 총 9,619건으로 구성되어 있다.
산림녹화사업은 산림청이 1973년부터 제1차 치산녹화 10개년 계획(1973~1978)을 수립하면서 본격적으로 추진됐다. 사방공사*, 화전정리(火田), 조림(나무심기) 등 다양한 사업을 추진해 산사태, 가뭄 등의 재해를 예방하고 황폐화된 국토를 회복시켜 이후 대한민국 경제 발전의 토대를 마련했다.
* 사방사업 : 황폐지를 복구하거나 산지의 붕괴, 토석·나무의 유출 등을 방지하기 위해 인공구조물을 설치하거나 식물을 파종·식재하는 사업
이러한 추진과정에서 정부는 지역사회에 각종 인센티브를 제공하며 국민들의 자발적 참여를 유도했다. 이를 통해 농촌 환경이 개선되고 지역사회가 발전하는 등 산림녹화사업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다. 그 결과 반세기 만에 1960년대 5.6㎥/ha에 불과하던 나무의 양이 2020년에는 165㎥/ha로 증가해 지금의 푸른 숲이 만들어졌다.
이같은 성공사례는 황페화 문제를 겪고 있는 개발도상국에도 적용할 수 있는 '한국형 모델'로 주목받고 있다. 정부와 민간이 함께하는 거버넌스 형태는 다양한 공적개발원조(ODA) 사업, 국제교육·훈련 프로그램에 활용할 수 있으며, 특히, 기후변화 대응, 사막화 방지, 산림생태계 복원 등 전 지구적 문제 해결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임상섭 산림청장은 "산림녹화기록물의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는 대한민국 산림정책의 우수성을 국제사회가 인정한 의미있는 결과다."라며, "과거의 기록을 미래의 해법으로 발전시켜 인류 공동의 미래를 '숲'으로 지켜나가는 글로벌 선도국가로서의 책임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