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방문은, 국방부 병영정책과에서 6월 호국보훈의 달을 맞아 '호국영웅에 대한 감사와 기억'을 주제로 기획, 국방부 전 직원을 대상으로 희망자를 모집한 결과 50여 명이 자발적으로 신청해 이뤄졌습니다.
⚪ 방문 현장에서는 호국영웅에 대한 경례, 지형·지역전사 설명, 유해·유품 소개, 유해발굴 현장견학, 질의응답 등이 진행되었습니다. 참석자들은, 더운 날씨 속에서도 호국영웅의 유해를 한 구라도 더 발굴하기 위해 혼신의 노력을 다하고 있는 9사단 및 유해발굴단 장병들에게 시원한 음료를 제공하기도 하였습니다.
□ 2025년 국방부 유해발굴사업은 6·25 전쟁 주요 격전지인 34개 지역에서 30개 사·여단, 10만여 명의 장병들이 투입되어 실시 중이며, 이들은 하나뿐인 목숨을 바쳐 국가와 국민을 지켜 낸 12만여 명의 미수습 호국영웅 유해를 찾기 위해 구슬땀을 흘리고 있습니다. 올해만 현재까지 58구의 유해를 추가로 발굴하였습니다.
□ 국방부에서는 이번 현장견학 이외에도 6·25 유해발굴사업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과 참여를 높이기 위해 '호국영웅에 대한 감사와 기억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각 지역 교육지원청과 협력하여 초·중·고등학생들의 유해발굴 현장견학을 확대하여 추진하고 있습니다. 올해 이미 전국 12개의 학교에서 유해발굴 현장을 찾았으며, 이는 2024년 대비 4배 증가한 수치입니다.
□ 앞으로도 국방부는 유해발굴사업에 대한 홍보와 더불어 참여자들이 국가관 및 안보관을 확립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는 유해발굴현장 안보견학을 더욱 확대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 또한 국방부는 6월 한 달 동안, 국방부 본관 1층에 '호국영웅기(旗)'와 '호국영웅 지정석'을 설치한 '호국영웅 추모공간'을 별도로 마련하여 국방부·합참 직원과 방문객들이 호국영웅들을 기억하고 추모하는 데 동참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 호국영웅 지정석은 평상시에는 장관 접견실에 비치되어 있음. 이는 주요 인사와 환담이나 토의를 할 때에 호국영웅이 동참한다는 의미를 지님.
□ 이번 유해발굴 현장견학에 참석한 국방부 디지털소통팀 이종민 주무관은 "6·25 전쟁이 발발한 지 75년이 지났는데, 아직도 흙 속에 잠들어 계신 호국영웅이 이렇게 많다는 것을 미처 알지 못했습니다. 호국영웅께 감사하고 영원히 기억하겠습니다. 그리고 호국영웅들의 뜻을 기려 튼튼한 국방을 만드는 데 기여할 수 있도록 제 위치에서 최선을 다하겠습니다."라고 다짐을 밝혔습니다.
※ 국방부는 6·25 전쟁 호국영웅들의 넋을 기리기 위해 '6·25 전사자 유해발굴사업'을 2000년부터 꾸준히 추진해 오고 있습니다. 6·25 전사자(호국영웅)에 대한 감사·보답·존경의 시작은 '유해발굴'이며, 유가족 여러분의 유전자(DNA) 시료채취만이 호국영웅을 가족의 품으로 모실 수 있는 유일한 방법입니다. 국민 여러분의 적극적인 참여를 기다립니다. ☎1577-5625 <끝>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