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년 5월 주요 유통업체 매출 동향 |
매출 7.0% 증가, 오프라인 0.9%로 4개월 만에 증가세 전환 SSM(준대규모점포)은 3개월 연속 증가, 편의점은 2개월 연속 감소 |
산업통상자원부는 '25년 5월 주요 유통업체(오프라인 13개사, 온라인 10개사)의 오프라인 매출은 0.9%(4개월만에 증가세 전환), 온라인 매출은 13.0% 증가해 전체 매출은 전년 동월 대비 7.0% 증가했다고 밝혔다.
< 업태별 매출 증감률 >
대형마트(0.2%), 백화점(2.3%)은 지난해 5월에 비해 휴일 수(+1일)*가 늘어난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방문고객(구매건수)은 감소한 반면, 물가상승, 고가품 중심 매출 확대로 1회 방문 시 구매액이 증가**하여 지난 1월 설 특수 이후 첫 플러스를 기록했다.
* 토·일, 근로자의날, 어린이날, 대체휴일, 부처님오신날 등 : ('24.5월) 11일 → ('25.5월) 12일
** 오프라인 전체 구매건수(△2.8%) 감소, 구매단가(3.8%) 증가
편의점(△0.2%)은 지난달에 이어 역성장을 하였으며, 방문고객이 꾸준히 증가세를 보여 온 준대규모점포(1.0%)는 3개월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온라인 매출(13%)은 지속적으로 10% 이상의 성장세를 기록하였다.
<유통업태별 전년동월 대비 월별 매출 증감률 (단위 : %)>
구분 |
'24년 |
'25년 |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
전체 |
11.1 |
6.3 |
9.2 |
6.7 |
6.7 |
8.0 |
8.9 |
11.7 |
4.4 |
9.2 |
7.0 |
7.0 |
오프라인 |
3.7 |
△3.0 |
5.0 |
△0.9 |
0.0 |
3.9 |
△0.3 |
8.8 |
△7.7 |
△0.2 |
△1.9 |
0.9 |
온라인 |
18.4 |
16.9 |
13.9 |
15.7 |
13.9 |
11.8 |
18.8 |
14.6 |
16.7 |
19.0 |
15.8 |
13.0 |
< 상품군별 매출 증감률 >
상품군별 매출은 오프라인의 경우 주얼리·시계류의 명품(8.1%) 판매가 크게 늘었고, 식품(1.0%)은 소폭 상승하였으며, 가전/문화(△7.8%), 아동/스포츠(△2.5%), 패션/잡화(△3.7%)의 부진이 지속되었다.
온라인은 음식 배달·e-쿠폰·여행·문화 상품 등의 서비스(37.3%), 식품(18.2%) 중심으로 성장세가 지속되었으며, 패션/의류(△4.6%), 스포츠(△12.7%)의 부진은 지속되었다.
<'25년 5월 전년동월 대비 상품군별 매출 증감률 (단위 : %)>
구분 |
전체 |
가전/문화 |
패션/잡화 |
아동/스포츠 |
식품 |
생활/ 가정 |
서비스/ 기타 |
해외유명 브랜드 |
|||
전체 (비중,%) |
7.0 (100) |
4.4 (10.6) |
△1.5 (11.8) |
△3.8 (4.9) |
8.1 (37.8) |
4.0 (12.1) |
19.1 (16.7) |
8.1 (6.2) |
|||
오프라인 (비중,%) |
0.9 (100) |
△7.8 (2.0) |
△3.7 (12.4) |
△2.5 (4.5) |
1.0 (44.4) |
0.1 (8.4) |
1.2 (15.2) |
8.1 (13.1) |
|||
온라인 (비중,%) |
13.0 (100) |
가전전자 |
도서문구 |
패션의류 |
화장품 |
아동유아 |
스포츠 |
|
|
|
|
5.8 (16.5) |
5.8 (1.7) |
△4.6 (5.9) |
7.4 (5.3) |
3.2 (2.9) |
△12.7 (2.4) |
18.2 (32.0) |
6.0 (15.4) |
37.3 (18.0) |
- |
< 업태별 매출 비중 >
업태별 매출 비중*은 오프라인은 대형마트(△0.7%p), 백화점(△0.9%p), 편의점(△1.2%p), 준대규모점포(△0.1%p) 등 모든 업태에서 감소하여 전체의 46.9%였으며('24.5월 49.8%), 온라인은 전년동월 대비 2.9%p 증가한 53.1%를 기록하였다.
* 오프라인 13개사, 온라인 10개사 기준
<오프라인⋅온라인 월별 매출 비중 (단위 : %)>
구분 |
'24년 |
'25년 |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
오프라인 |
49.8 |
50.5 |
48.7 |
50.3 |
50.3 |
48.1 |
47.0 |
47.3 |
48.2 |
44.4 |
46.5 |
45.6 |
46.9 |
온라인 |
50.2 |
49.5 |
51.3 |
49.7 |
49.7 |
51.9 |
53.0 |
52.7 |
51.8 |
55.6 |
53.5 |
54.4 |
53.1 |
|
<'24년과 '25년의 5월 업태별 매출구성비> |
|
|
|
|
||
'24년 5월 업태별 매출구성비 |
'25년 5월 업태별 매출구성비 |
||
|
|
< 오프라인 점포수 / 점포당 매출 / 구매건수 >
오프라인 점포수는 전년동월 대비 준대규모점포(3.1%)는 확대, 대형마트(△1.6%), 백화점(△5.0%), 편의점(△0.6%)은 축소되었다.
점포당 매출은 전년동월 대비 대형마트(1.8%), 백화점(7.7%), 편의점(0.5%)은 증가, 준대규모점포(△2.1%)는 감소하였다.
<'25년 5월 전년동월 대비 점포당 매출 및 점포수 증감률 (단위 : %, 개)>
구분 |
전체 |
대형마트 |
백화점 |
편의점 |
SSM |
점포당 매출 증감률 |
7.1 |
1.8 |
7.7 |
0.5 |
△2.1 |
점포 수 증감률 |
△0.6 |
△1.6 |
△5.0* |
△0.6 |
3.1 |
점포 수(개) |
49,934 |
370 |
57 |
48,315 |
1,192 |
* 현대百 울산동구점을 울산점 분점으로 전환('25.6월), 현대百 부산점 기타대형종합소매업(아울렛)으로 전환('24.8월), 롯데百 마산점 폐점('24.8월) 등 3개 점포 감소
오프라인의 구매건수는 대형마트(△2.5%), 백화점(△2.0%), 편의점(△3.1%)은 감소, 준대규모점포(1.5%)*는 증가하여 전체 2.8% 감소하였다.
* `23. 4월 이후 25개월 연속 구매건수 플러스 성장
구매단가는 대형마트(2.8%), 백화점(4.4%), 편의점(3.1%)은 증가, 준대규모점포(△0.5%)는 감소하여 전체적으로 3.8% 증가하였다.
<'25년 5월 오프라인* 부문 구매건수·단가 증감률 (단위 : %)>
구분 |
전체 |
대형마트 |
백화점 |
편의점 |
SSM |
구매건수 |
△2.8 |
△2.5 |
△2.0 |
△3.1 |
1.5 |
구매단가 |
3.8 |
2.8 |
4.4 |
3.1 |
△0.5 |
* 온라인은 구매건수를 집계하지 않고 있어 통계자료에 미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