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존 관수시설에 연계할 수 있는 자동 양분공급 제어시스템 개발
- 양분 이용 효율과 수확량은 높이고, 생산비와 노동력은 줄이고
기후변화로 강수량이 증가하면서 노지 밭작물 재배지에서의 양분 유실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에 작물이 필요로 하는 양분을 더욱 효율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기술개발이 중요해지고 있다.
농촌진흥청은 최근 노지 밭작물에 간편하게 양분을 공급하면서도 효율이 높은 '양분공급 제어시스템'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수압식 피스톤 펌프 방식의 양분혼합장치를 이용해 수용성 비료 원액을 정확한 비율로 희석한 뒤 일정 주기로 작물에 공급하는 방식이다.
기존 스프링클러나 지중점적관 같은 노지 관수시설과 쉽게 연동할 수 있으며, 별도의 전원 없이도 작동한다. 양분과 물의 혼합비율을 0.2%~4%까지 조절할 수 있어 작물 생육 단계에 따라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지금까지는 작물 파종 전과 생육 중 한 차례씩 비료를 살포했다면, 새로 개발한 양분공급시스템은 작물이 필요로 하는 시점에 맞춰 양분과 물을 함께 공급해 양분 이용 효율이 높다.
실제 지중점적관개 시설과 연동해 옥수수를 재배한 결과, 풋옥수수 수확량이 10아르(a)당 957kg에서 1,079kg으로 약 13% 증가했다. 질소 흡수량도 30.6kg에서 38.2kg으로 늘어 비료 사용량을 약 23% 절감했다.
농촌진흥청은 이 기술을 지난해 개발한 기상정보를 활용한 자동관개시스템*과 결합해 '양·수분 자동 공급시스템'으로 발전시켜 관련 특허를 출원**했다.
* '기상정보를 활용한 관개 스케줄링 프로그램'(C-2023-0594701호)
**「기상정보를 이용한 수분 및 양분공급 제어시스템」(10-2024-0105616)
올해 시범 사업 제안, 단계적 현장 실증을 거친 후 민간업체와의 기술이전 및 사업화를 추진해 농가 접근성을 높일 방침이다.
농촌진흥청 스마트생산기술과 고지연 과장은 "양분공급 제어시스템은 비용 부담을 낮추면서도 노지작물 재배 효율성과 생산성을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라며, "앞으로도 현장 적용성과 파급력 높은 기술 보급과 확산에 지속해서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