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글은 2000여년전 유태인들이 아침식사로 즐겨 먹던 계란과 유지,방부제를 뺀 빵에서 유래했다.저지방,저칼로리의 건강식품이라서 오늘날은 뉴요커의 아침식사로 각광을 받는다.몇 년전부터는 우리나라에도 들어와 외국인이나 외국 체류 경험자들을 중심으로 퍼졌다.새 먹거리 문화를 선점해 불황에 더욱 빛나는 무교동의 베이글 전문점 ‘베이글 스트리트’를 찾았다.
●새로운 먹을거리로 ‘불황 파고’ 돌파
웰빙바람을 타고 저칼로리 건강식 베이글이… 웰빙바람을 타고 저칼로리 건강식 베이글이 큰 인기를 얻고있는 가운데 '베이글 스트리트' 무교점의 대표 안익재(오른쪽)씨가 점장 신동렬씨와 베이글 샌드위치를 만들고 있다. |
베이글 스트리트 무교점의 대표 안익재(36)씨는 유수의 대형 금융회사에 다니던 샐러리맨이었다.하지만 능력과 무관하게 모두 비슷한 월급을 받는 직장생활에 대해 점차 매력을 잃었다.웰빙의 바람을 타고 지난해 7월 국내에는 다소 생소한 베이글 가게를 열었다.여기에는 군대 동료이던 신동렬(36)씨도 함께 했다.
“저는 대학을 졸업한 뒤 직장생활만 했기 때문에 상술에 대한 감이 없었어요.장사 경험이 많은 점장이자 제 친구인 신씨의 도움을 많이 받았죠.”
신씨는 파스타가게를 비롯 돈가스,인테리어,옷,미장원,연극 등 장사에 관해서는 산전수전에 공중전까지 겪은 베테랑이다.이들은 제주도 해안가의 초소를 지킨 전우로 처음 만나 계속 우정을 이어온 십년지기다.
“아직까지 베이글에 대한 인식이 그리 높지 않아요.옆집이 주류가게여서 베이글과 발음이 비슷한 빽알(고량주)을 파는 데가 아니냐는 어이없는 오해도 받았어요.”
하지만 이 곳을 구수한 빵냄새 풍기는 베이글 가게로 알고 즐겨 찾는 외국인들도 많다.이 일대에는 롯데호텔을 비롯해 서울프라자,프레지던트,코리아나,뉴서울 등 유명호텔이 즐비하다.이곳의 투숙 외국인들과 이 일대에서 근무하는 주한 외국인들에게 이 가게에 대한 입소문은 이미 번졌다.손님 가운데 외국인의 비중이 무려 30%이다.
●입맛따라 피망·양파·치즈등 곁들여
“사실 외국인 취향의 베이글과 유흥주점이나 한식집이 대다수인 무교동의 분위기는 잘 어울리지 않죠.”
하지만 주변환경과 불협화음인 이 가게를 찾는 사람은 적지 않다.통상 하루 120여명이 찾으며 거의 매일 오는 단골고객만도 70여명에 이른다.이들은 취향에 따라 상추,양파,피망,토마토 등 야채와 치즈를 골라 베이글에 끼우고 향이 좋은 커피를 곁들여 아침 식사를 한다.
“아침에는 베이글 샌드위치,점심에는 음료수가 주로 팔려요.주 5일제가 시행돼 주말매출이 감소한 반면 서울광장이 생겨서 유동인구는 늘었죠.”
매출에서 샌드위치와 음료가 차지하는 비중은 대략 6대 4.베이글 빵만은 하루 80여개쯤 팔리며 야채와 치즈가 삽입된 베이글 샌드위치는 60여개,음료수는 100잔 안팎이 나간다.아침 7시에서 오후 9시까지가 영업시간이며 손님들이 주로 몰리는 시간대는 아침 8∼10시와 정오∼오후 2시,오후 6∼8시이다.베이글 샌드위치는 종류에 따라 2800∼6500원이며 음료수는 2000∼5000원.야채와 치즈를 뺀 순수 베이글은 1000∼1300원에 판다.
“실은 저희 가게가 이 일대보다 500∼1000원가량 더 받아요.하지만 아직도 제값을 받는다고 생각하지는 않아요.커피나 빵의 재료를 성실하게 써서 원가부담이 큰 편이에요.”
●2억원 투자… 월 700만~900만원 순익
베이글 스트리트는 캐나다에 본사를 둔 베이글 전문 체인점이다.우리나라에는 10여개의 점포가 있다.본사에서는 15일 동안의 베이글 교육과 재료를 공급한다.13평짜리 무교점에 들어간 창업 비용은 보증금과 시설비,권리금 등을 포함해 2억원 정도.월 매상은 1600만∼1700만원.여기서 임대료 300만원과 재료비 200만∼300만원,인건비 300만원 등을 빼면 월 700만∼900만원의 월 순이익이 남는다.
글 이유종기자 bel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