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 적자인 1·2호선(2호선은 9월말 개통 예정)을 활성화하고, 지역 건설경기 부양을 위해서는 3호선 조기 건설이 절실하다는 판단 때문이다.
대구시는 당초 3호선을 2007년 하반기 착공해 2016년 완공할 계획이었지만 정부 지원을 받지 못해 2007년 설계,2008년 착공,2019년 개통으로 계획을 바꿔 추진중이다.
19일 대구시에 따르면 당초 지하철 3호선은 기획예산처의 예비타당성 조사에서 사업추진이 보류됐으나 건설교통부가 최근 기본설계비 30억원을 반영, 기획예산처의 최종 판단을 기다리고 있는 상태다.
기획예산처는 다음 달까지 사업타당성 심의를 거쳐 예산안을 국회에 제출할 예정이지만 3호선 건설에 10년 동안 사업비 1조 1300억원의 60%(나머지 지방비)를 지원하는 데 난색을 표시하고 있다. 기획예산처는 1·2호선 운영적자가 연간 500억∼600억원으로 예상되고, 지하철 건설 부채가 1조 4000억원에 이르는 점 등을 들어 3호선 조기 건설에 부정적인 입장이다.
그러나 대구시는 1·2호선은 대구의 동서쪽을 가로질러 연결하고 있어 남북을 잇는 3호선(북구 칠곡동∼수성구 범물동 23.95㎞구간)이 건설돼야만 명실상부한 대중교통시대를 열 수 있다며 중앙정부를 설득하고 있다.
한동수 대구시 지하철건설본부장은 “2019년 3호선이 개통되면 환승효과 등으로 1∼3호선 승객이 61만명에 이르면서 전체 운영적자가 29억원으로 줄고,1인 승무제를 2023년 무인화하면 흑자운영이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한편 대구 수성구 지산·범물동과 북구 태전·관문·구암동 주민들은 ‘3호선 조기착공 추진위원회’를 구성, 서명운동에 나서는 등 3호선 조기건설을 요구하고 있다.
대구 황경근기자 kkhwang@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