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병직(왼쪽에서 두번째) 건설교통부 장관이 23일 국회에서 열린 열린우리당과의 당정협의에서 ‘철도공사 경영개선 기본계획’을 설명하고 있다. 김명국기자 daunso@seoul.co.kr |
우선 정부가 고속철도 부채의 이자로 지원하겠다는 2250억원도 올해 지원금액이 1000억원에 이르는 점을 감안하면 순수 증가액은 1250억원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대책에 따른 정부의 실제 추가투입액은 연간 1000억∼2000억원 정도인 만큼 올해 6조 7000억원의 누적적자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철도공사 부채문제를 해결하기에는 역부족이라는 것이다.
노인과 장애인 등 사회적 약자에 대한 공익 서비스 비용(PSO)의 보전 규모를 올해 3486억원에서 내년에는 2850억원으로 축소하겠다는 방침도 불만스럽다. 철도운영자로서 PSO가 적용되는 통근열차나 무궁화호의 운행은 축소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유지보수비의 70%를 부담하던 선로사용료는 50%로 감면됐지만, 같은 국가시설이면서도 도로는 시설사용료를 한푼도 내지 않고 있는 만큼 형평에 맞지 않는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럼에도 고속철도 선로사용료는 아예 감면대상에서 제외된 것은 문제라고 본다.
자구노력을 위한 철도 역세권 개발에도 용적률 상향조정 등 정부의 법적·제도적인 뒷받침을 요구했다. 막대한 부채이자를 부담하고 있는 상황에서 역세권 개발 착공시기를 하루라도 앞당겨 부채를 줄일 수 있도록 지원해 달라는 요청도 있었다. 역세권 개발 등으로 2019년부터 5년 동안 2조 1000억원의 기대수익을 창출하는 등 강도높은 자구책을 마련하겠다는 것이다.
최연혜 부사장은 “고강도 자구노력에 정부의 지원 대책이 법과 제도로 뒷받침되어야 철도공사는 정상화가 가능할 것”이라면서 “철도공사는 이번 경영개선 대책안을 정부가 5년 후 종합적으로 재검토·보완한다는 조건으로 받아들였다.”고 밝혔다.
장세훈기자 shjang@seoul.co.kr
2006-8-24 0:0:0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