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일 행정자치부에 따르면 단체교섭 참여의사를 밝힌 공무원노조총연맹(공노총) 등 10개 노조는 마감시한인 이날까지 공동 교섭위원을 선임·제출하지 않았다.
관련 규정에 따르면 마감시한을 넘길 경우 각 노조는 조합원 수에 비례해 교섭위원을 선임할 수 있다.
하지만 공노총을 제외한 한국공무원노조 등 상당수 노조가 이에 반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행자부와 노동부 등 공무원노조 관련부처 관계자, 공노총 등 합법 노조 대표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23∼24일 대전 유성구 스파피아호텔에서 열릴 ‘제1회 노사합동워크숍’이 돌파구가 될 수 있을지 기대를 모으고 있다.
행자부 관계자는 “이번 워크숍은 올해 초 공무원노조 합법화 이후 처음으로 열리는 노사간 공식접촉으로, 공무원 노사관계의 현주소를 진단하고 향후 발전방안을 모색할 계획”이라면서 “머리를 맞대고 얘기를 나누면 교섭위원 선임을 마무리할 ‘묘안’도 나올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박성철 공노총 위원장도 “노조간에는 지난달 말 첫 상견례를 했지만, 교섭위원 선정문제를 본격적으로 논의한 상황은 아니다.”면서 “워크숍을 계기로 협의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행자부는 또 본격적인 단체교섭에 대비해 교섭업무를 전담할 ‘단체교섭팀’을 설치키로 했다.
장세훈기자 shjang@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