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명숙 총리의 사퇴가 공식화됨에 따라 새 총리 후보군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청와대에선 인선과 관련, 아무런 방향도 정하지 않았다고 하지만 정치권이나 총리실 주변에서는 벌써부터 7∼8명의 이름이 오르내린다. 물론 ‘제3의 인물’이 전격 등용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다.
우선 관심은 참여 정부 임기 말의 행정부를 이끌 총리가 ‘고건’으로 대표되는 ‘관리형’ 내지 ‘정책형’이 될 것인가, 아니면 ‘이해찬’으로 상징되는 ‘실세형’ 내지 ‘정치형’이 될 것이냐 하는 데 있다. 역대 대통령들은 통상 임기 말 총리로 관료 출신 내지 원로급 명망가들을 기용했다. 이 점에선 전자(前者)에 가깝다.
노무현 대통령이 이런 ‘공식’을 따를지는 점치기 어렵다. 청와대에서 “대통령과 생각을 같이 하는 사람을 우선할 것”이란 목소리가 나오기 때문.
현재 거론되는 후보군에서 전윤철 감사원장, 이규성 전 재정경제부 장관, 한덕수 전 경제부총리 등이 일단 ‘고건형’ 범주에 든다고 할 수 있다. 모두 정통 관료출신이라는 점에서다.
전 감사원장은 총리 단골후보다. 김대중 정부시절 청와대 비서실장, 경제부총리를 역임하는 등 국정 관리 경험이 풍부하다. 관료 출신으론 드물게 조직 장악력이 뛰어나고 카리스마를 갖췄다는 평을 받는다. 이 점에선 ‘이해찬형’도 겸비하고 있다는 평이다. 총리실의 한 관계자는 “전 감사원장이 다소 까칠한 면은 있지만 대선을 앞두고 혼란스러워질 공직 분위기를 휘어잡기엔 적격일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감사원장 임기가 11월까지 남아 있고, 임채정 국회의장, 이용훈 대법원장 등 3부 요인의 두 축이 호남 출신이어서 지역 안배를 고려하면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이규성 전 장관은 김대중 정부 초기 외환위기 수습정책을 총괄했다는 점에서 임기 말 경제관리에 적합하다는 강점을 갖고 있다. 하지만 조직 장악력과 추진력은 미지수라는 평가도 있다.
한 전 부총리는 참여정부에서 국무조정실장, 경제부총리, 총리 직무대행 등 요직을 거쳤다. 따라서 임기 말 대미 장식에 적격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하지만 경제부총리 재임시 부동산 대란의 책임을 면하기 어렵다는 게 약점이다.
‘이해찬형’으론 이병완 청와대 비서실장, 김병준 전 청와대 정책실장 등이 거론된다. 모두 노무현 대통령의 국정철학에 정통한 측근 인사들이다.‘레임덕’을 줄이는 데는 일정 역할이 기대될 수도 있다. 그러나 행정경험이 거의 없는 데다, 초강세인 야당이 ‘코드인사’를 내세워 반발할 게 뻔해 국회 통과가 어렵다는 게 부담거리다.
이밖에 김우식 과학기술부총리, 박재규 경남대 총장 등도 거론된다. 하지만 두 사람 모두 행정경험 및 조직 장악력에서 비교적 취약하다는 반론도 나온다.
임창용 윤설영기자 sdragon@seoul.co.kr
2007-2-27 0:0:0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