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경안천 유역의 하수처리장 등 환경기초시설을 확충해 지난 2005년 65%에 머무른 하수도 보급률을 90%로 끌어올릴 계획이다. 이를 통해 2급수인 팔당 상수원의 수질을 1급수로 끌어올리겠다는 복안이다.
김문수 경기지사는 28일 기자회견을 통해 이같은 내용을 담은 ‘깨끗한 경안천 만들기 종합대책’을 발표했다.
●본류·지천 38만평에 조성
도는 우선 경안천 본류 및 지천 53㎞ 38만평에 수질을 정화할 수 있는 생태습지와 둔치 등 친수 공간을 조성한다. 이달에 경안천 상류지역인 용인 처인구 길업·마평지구 1만 9000평에서 수질정화습지 조성 공사를 시작한다.
도는 경안천 수질개선 종합대책에 들어가는 전체 예산 8795억 6000여만원의 43%인 3718억 6000여만원을 이 사업에 투입한다.
●하수관거 397㎞도 정비
도는 또 생태습지 조성과 별도로 4582억 2000여만원을 들여 용인과 광주 등 22개 지역에 하수처리장 6개, 마을하수도 11개를 각각 증설하고, 하수관거 397㎞를 정비한다.
팔당호 부영양화의 주요 원인인 질소와 인을 줄이기 위해서 팔당호 유입 주변 농경지에 최소 단위 규모 10㏊의 청정농업 단지도 조성한다.
환경시민단체 등이 참여하는 ‘경안천 살리기운동본부’를 발족하는 등 주민참여도 적극 유도한다.
도는 ‘1마을,1회사,1하천’ 운동과 인근 주민을 ‘맑은 물 지킴이’로 위촉하는 사업을 벌여 경안천 유역에서 쓰레기 투기나 오·폐수 무단방류 등 하천 오염행위를 밀착 감시한다.
●모든 유역 낚시 금지
경안천 전 유역에는 낚시를 금지하고,‘하천활동의 날’을 지정해 월 1∼2회 쓰레기 줍기 등 하천 정화활동도 벌이도록 지원한다.
이밖에 도는 ▲경안천수계 생태건전성 평가사업 ▲비점오염원 줄이기시설 설치 ▲환경공영제의 확대 실시를 통해 ‘팔당호 1급수’를 달성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경안천은 팔당호 유량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1.6%에 불과하지만 오염배출량은 16%에 달할 정도로 유입하천 중 오염도가 가장 심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수원 김병철기자 kbchul@seoul.co.kr
2007-3-1 0:0:0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