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 동작구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시에 현충원 외곽 26만평을 공원녹지기본계획에 반영시켜 줄 것을 요청했다. 결과가 나오는 대로 변경 절차와 조성계획에 따른 투자심사를 거쳐 근린공원 조성과 함께 산책로, 삼림욕장, 문화 회관, 도서관, 종합체육관 등 편의시설을 설치할 계획이다. 서울 도심에 26만평의 녹지 공원이 들어서는 셈이다.
그러나 가장 큰 난관은 재원 부족이다. 금액이 천문학적인 데다 일괄 보상이 어려워 적지 않은 민원이 쏟아지고 있다. 이 때문에 서울시도 구의 요청을 1년간 검토만 하고 있다. 근린공원 조성에 들어가는 총 사업비는 3000억원으로 추정되고 있다.
환경녹지과 손화남 주임은 “단계별로 공사가 진행돼서 한꺼번에 큰 돈이 필요한 것은 아니다.”면서 “우선 묘지공원을 근린공원으로 바꾸기 위해 공원녹지기본계획에 포함돼야 한다.”고 말했다.
사업 추진에 더 어려웠던 것은 관리체계의 이원화 때문이다. 현충묘지공원의 담장 내부는 국립현충원과 국방부에서, 담장 외부는 서울시가 관리한다. 전체가 묘지공원으로 묶여 있어 담장 외부에도 체육시설 등 시설물 설치가 불가능하다.
현충묘지공원은 1962년 도시계획시설로 처음 지정된 이후 국방부가 점진적으로 국립현충원을 조성했다. 그러나 현충묘지공원 가운데 70%만 국립현충원으로 조성하고, 외곽 지역은 지난 40년간 방치했다.
구 관계자는 “주민들이 체육시설 설치를 요구하고 있지만 근린공원으로 변경되지 않는 한 시설물 설치가 곤란하다.”면서 “재산, 체육 등 관련 민원으로 골치가 아프다.”고 토로했다.
한편 동작구는 2004년 현충원 내부 투시가 가능한 건물이나 시설물을 건립하지 않겠다고 국방부와 합의했다.
김경두기자 golders@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