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관계자는 24일 “서울시, 한국철도공사, 교통카드 정산업체 등과 협의가 마무리됨에 따라 오는 7월1일부터 서울∼경기간 버스, 지하철 통합환승할인제를 시행할 수 있게 됐다.”면서 “다음달 중 해당 기관장이 모여 최종 협약식을 갖고 시범운행을 거쳐 시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당초 참여하기로 했던 인천시는 통합환승할인제 실시에 따른 손실금을 확보하지 못해 대상에서 빠졌다.
그러나 서울시는 즉각 해명자료를 통해 “7월1일 통합환승할인제 시행은 합의된 바 없다.”면서 “특히 대상에서 인천시를 제외한 적도 없다.”고 말했다.
신종우 교통기획팀장은 “올 하반기 시행을 목표로 구체적인 사항에 대한 협상을 진행하고 있다.”면서 “다만 해당 기관장이 모여 최종협약식을 갖는다는 것은 사실이 아니다.”고 강조했다.
서울과 경기도의 엇박자 행보는 통합할인제 적용에 따른 손실금 분담을 줄이려는 ‘신경전’으로 해석된다. 경기도는 ‘6(서울)대 4(경기도)’를, 서울시는 ‘4(서울)대 6(경기도)’을 주장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통합환승할인제가 시행되면 경기도와 서울시의 시내버스, 마을버스, 지하철 중 어느 교통편을 이용하더라도 통행거리를 합산해 기본구간(10㎞ 이내)에서는 900원을 내고,10㎞를 초과하면 5㎞ 때마다 100원씩 추가로 부담한다. 이 경우 경기와 서울을 오가는 시민들의 대중교통 요금은 현행보다 평균 30∼40% 줄어들게 된다.
수원 김병철·서울 김경두기자 golders@seoul.co.kr
2007-5-25 0:0:0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