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4~5개로 축소”… 코레일, 6개 개편안 내놔
코레일의 자회사(계열사) 구조개혁 작업이 난항을 겪고 있다.25일 국토해양부와 코레일에 따르면 내달 발표될 3단계 공기업 선진화 계획에 코레일의 자회사 민영화계획이 포함돼 있으며,9개인 자회사를 몇 개로 줄일 것인가를 놓고 두 기관간 이견차가 큰 것으로 알려졌다.
코레일측은 자회사가 고유업무를 위탁, 수행하는 만큼 민영화가 아닌 경영효율화 대상이라고 주장한다. 수익성이 중시되는 민영화로 갈 경우 고비용이 따르고 서비스 악화 등 부작용도 우려된다는 논리를 내세운다.
코레일은 유사기능 통폐합을 통해 6개 자회사로 개편할 계획을 내놨다.
트랙·전기·엔지니어링 등 3개 자회사를 1개 기술 자회사로 통폐합하고, 유통과 애드컴은 통합해도 좋지만, 로지스·개발·네트웍스·투어서비스는 필수업무를 위해 유지를 주장하고 있다.
반면 국토부는 “정부안(3개)을 고집하지 않지만 수용하기 어렵다.”며 반대입장을 분명히 했다. 이에 따라 4∼5개 자회사로 기본안이 마련될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다.
5개로 줄일 경우 개발·네트웍스 통합이 유력시된다. 이는 유지보수와 역 구내·열차내·물류영업, 매표와 콜센터 등 철도 서비스로 재편되는 것으로 코레일이 수용가능한 마지노선이다.
4개사 체제 개편이 이루어질 경우엔 로지스 매각이 예상된다. 하지만 이는 물류선진화를 위해 꼭 필요한 철도 연계 도로 운송 서비스(door to door)에 차질을 불러올 가능성이 높아 코레일이 수용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다.
코레일은 또 승무원 인력관리 및 열차내 서비스 등을 담당하는 투어서비스의 존치를 강조하고 있다.
이미 지분의 50%를 롯데관광이 소유하고 있는 상황이어서 통폐합 등 경영권과 관련된 사안을 독자 결정할 수 없다는 설명이다.
또 나머지 지분을 매각, 민영화할 경우 ‘제2의 열차 승무원 사태’를 부를 수 있다고 우려한다.KTX 승무원 문제가 연계됐기 때문이다. 현재 승무원들은 2006년 코레일유통 소속 비정규직 신분으로 근무하다가 투어서비스로 회사가 바뀌면서 정규직으로 채용됐다. 따라서 민영화 과정에서 정규직이라는 안전망이 위협받을 경우 집단 반발이 불가피할 수밖에 없다.
정부대전청사 박승기기자 skpark@seoul.co.kr
2008-8-26 0:0:0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