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시스템은 2010년부터 통행량이 많은 주요 역사에 설치될 예정이며, 역세권 주변 상가정보 등도 제공한다. 터치스크린형이라 인터넷에 취약한 사람이라도 누구나 필요한 정보를 손쉽게 검색할 수 있다.
공사는 “현재 역내에 비치된 주변지역 안내도로는 원하는 장소를 쉽게 찾기가 힘들다는 점에 착안해 이 시스템을 도입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이날 발표회에서 서울의료원은 거동이 불편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화상진료를 발표했다. 가정을 방문한 간호사가 캠코더를 붙인 노트북과 휴대용개인단말기(PDA)를 이용해 의사와 실시간 진료를 하는 시스템이다.
또 우수 디자이너를 발굴해 창업 비결을 전수하는 서울산업통상진흥원의 ‘실전 인큐베이팅 사업’, 임대아파트에 사는 자녀에게 학습지도를 하는 SH공사의 ‘SH아카데미’ 등 6건의 우수사례가 소개됐다.
최여경기자 kid@seoul.co.kr
2008-9-27 0:0:0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